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획
내부
기획
방책
방법
설계
속
d라이브러리
"
안
"(으)로 총 8,82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02
기술로 발전할지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위의 4가지 기술 중 적어도 하나는 5년
안
에 500GB~ 1TB 이상의 고용량 광정보저장기기로 발전해 수백억 달러의 정보저장시장을 석권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02
밀려나는 반면, 미행성들은 반대로 태양계
안
쪽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태양계
안
쪽으로 밀려들어온 미행성들이 38억년전 지구형 행성에 집중 충돌함으로써 오늘날 달이나 수성 표면에 보이는 수많은 충돌 구덩이를 만들었다는 것이다.결론적으로 천왕성과 해왕성은 목성과 토성 부근에서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02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8억개 DNA 염기쌍을 갖는 것으로 추측되는 개 게놈 지도 초
안
이 완성되면 앞으로 인간을 대상으로 연구하기 어려운 암이나 심장질환, 자가면역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속도가 붙는 동시에 개 질병의 메커니즘과 치료법을 찾는데도 큰 역할을 할 것이다 ... ...
친절한 거미씨
과학동아
l
200602
것”이라며 활짝 웃었다.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 주필거미박물관경기도 남양주시 조
안
면 진중리 528번지일대 아라크노피아 생태수목원과 수목원 내의 주필거미박물관은 학생들이 직접 생물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특히 주필거미박물관은 세계 최초의 거미박물관으로 김주필 거미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01
voice coil)에불어 있다 음파를 받아 진동판이 움직이면 여기에 붙어 있는 코일이 자기장
안
에서 진동함으로써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이용하는 마이크로폰이다 지구표면의 중력 포텐셜의 표준단위코일을 자기장 내에 두고 음성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류의 변화에 따라 진동하는데, 이 코일로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01
대형 망원경을 해외에 건설하는 게 간절한 소원”이라며 “그러면 우리 천문학이 우물
안
개구리 수준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별을 따던 소년이 별 박사가 된 후 또 다른 꿈을 꾸고 있는 것이다. 청소년에게청소년기에 하고 싶은 것을 직접 해보는 게 중요하다. 방학을 이용해 시인이나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
반가운 새해 인사지구 전체 면적의 약 6.8%를 차지하는 남극은 발견된 지 채 200년도
안
됩니다. 남극은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원시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있는 마지막 남은 미지의 대륙이면서 인류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현재 남극은 거대한 자연과학 실험장으로 빙하, 지질, 해양, 생물 그리고 ... ...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DMB
과학동아
l
200601
12월 1일 달리는 차
안
에서나 걸을면서 고화질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지상파 디지털미디어방송(DMB)이 시작됐다. 지난 5월 첫 전파를 쏜 위성 DMB에 이어 이번에 시작한 지상파DMB는 한국이 세계 최초로 독자 개발한 신개념 방송서비스다. 지상파DMB는 유료인 위성 DMB와 달리 단말기만 있으면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01
붙은 이름이다.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의 막을 뚫고 자신의 유전자를 주입해 세균
안
에서 바이러스 유전자와 단백질 껍질을 복제한다. 수많은 개체로 늘어난 박테리오파지는 더 이상 쓸모가 없어진 세균을 죽이고 나와 다른 ‘사냥감’을 찾아 나선다.학자들은 박테리오파지를 이용해 어떤 항생제도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01
“개발비에 신경 쓰지 않아도 좋다”고 180도 달라진 모습을 보였다.“다행히 그 뒤로는
안
심하고 연구에 전념할 수 있었죠.”그는 올 가을에 박사학위를 받을 예정인 이창희 연구원과 함께 거대 타원은하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연구하고 있다.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매번 그래프 상에 점으로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