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쓰는 방법은 없을까. 엄상일 KAIST 수리과학부 교수는 “2012년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미국
UCLA의 로이드 샤플리 교수와 하버드대 앨빈 로스의 시장 자원 배분 이론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WHAT 있을 것”이라며 “최근 모바일 메신저 업체에서 시작한 택시 콜서비스나 결혼정보회사의 남녀 짝짓기 문제가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얼마나 발생해 어디로 이동하는지 제대로 알려진 게 없다. 오염물질은 태평양을 건너
미국
본토까지 날아가는데, 정작 최대 배출원으로 추정되는 중국에선 대기질 정보를 꽁꽁 숨겨두고 보여주지 않는다. 민 교수는 “내년엔 항공기나 선박에 아놀드를 실어 황해에서 오염물질을 측정할 ... ...
마지막 한 방울의 케첩까지 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속 케첩을 마지막 한 방울까지 모두 사용할 수 있게 해 줄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어요.
미국
MIT공대 크리파 바라나시 교수팀은 용기 안쪽 벽면에 뿌리는 윤활제인 ‘리퀴글라이드(LiquiGlide)’를 만들었어요. 리퀴글라이드로 코팅을 할 땐 두 단계의 코팅 과정을 거쳐요. 우선 1차 코팅제로 용기 안쪽 ... ...
[지식] 매미의 한여름 세레나데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설명했다. 그렇다면 다른 곤충과 비교했을 때 매미 날개는 어떤 효율성이 있을까?
미국
버지니아대 기계항공공학부의 하이보 동 교수팀은 매미 날갯짓을 수학적으로 분석했다. 우선 매미를 3차원으로 분석했다. 오른쪽 날개가 붙어 있는 곳을 원점으로 머리에서 가슴과 배가 이어지는 일직선에서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우리나라의 고정 관념이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임 교수가 유니스트에 오기 전 연구했던
미국
미시간주는 알츠하이머에 대한 인식이 우리나라와는 사뭇 달랐다. 우리나라에서는 치매를 부끄러운 병이라고 생각해 환자를 숨기려는 경향이 있는데, 미시간에는 환자나 환자 가족을 위한 클럽도 마련돼 ... ...
쉬운 일을 어렵게 하는 매력, ‘골드버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복잡하고 엉뚱할수록 찬사를 받는 기계, 골드버그 장치다. 골드버그는 19세기에 태어난
미국
의 카툰 작가 루브 골드버그의 이름을 딴 장치다. 원래 샌프란시스코의 상하수도를 고치는 엔지니어였던 골드버그는 자신의 장기였던 만화를 그리기 위해 신문사로 자리를 옮겼다. 만평을 그리던 ... ...
부모의 과대평가가 아이를 망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암스테르담대 에디 브루멜만 교수와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브래드 부시맨 교수는 7세에서 11세 사이의 네덜란드 어린이 565명과 그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했어요. 6개월 간격으로 4번씩 설문 조사를 하며 ‘우리 아이는 다른 아이들보다 뛰어나다’와 같은 질문을 통해 부모가 아이를 ... ...
스티로폼 볼, 배터리로 다시 태어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것이 좋지요. 하지만 현재는 사용된 스티로폼의 10%만 재활용 될 뿐이랍니다.그런데
미국
퍼듀대 빌라스 폴 교수팀은 이런 스티로폼 볼을 배터리의 전극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어요. 보통 충전식 리튬 이온 배터리의 전극에는 순수한 탄소 덩어리인 흑연이 사용돼요. 열을 가한 흑연의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전달하는 수용체랍니다.가려움이 통증의 일종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 결과도 있어요.
미국
워싱턴대학교 첸 조우펭 교수팀은 실험쥐의 유전자 중 고통에 반응하는 ‘BRAF’ 유전자가 활성화되도록 조작한 뒤, 쥐의 행동을 관찰했어요. 그 결과 쥐가 온 몸을 계속 벅벅 긁는다는 사실을 확인했지요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성공했다. 이 지역은 기후가 따뜻하고 바다가 가까워서 대기가 고온다습하다. 그래서
미국
에서도 번개가 많이 치기로 유명하다.연구팀은 구리선을 매단 로켓을 먹구름 속으로 쏴 올렸다. 이 구리선은 땅까지 늘어질 만큼 길었다. 구름에 잔뜩 몰려 있던 전자는 전기 전도성이 큰 구리선을 타고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