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열과 전기의 비밀통로 무전기로 둔갑한 「빨치산반합」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따라 열전재료의 사용처는 여러 산업분야에서 계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재료
공학
기술의 현저한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 열전재료의 제조가 가능해짐에 따라 열전변환기술의 응용은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우리나라에서는 80년대 중반부터 필자의 연구팀과 일부 대학에서 열전재료의 개발과 ... ...
기초과학연구지원센터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할 수 있는 신소재는 기초과학의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의학 농학
공학
등 분야에서도 생산적인 연구보다 기초연구에 해당하는 분야에 과감하게 지원할 것"이라고 말한다.아주대 물리학과교수로 있다가 지원센터 소장으로 발탁된 그는 누구보다 대학의 연구환경을 속속들이 알고있기 ... ...
학문의 맞수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밖에 없다. 하지만 그 당시만 해도 나는
공학
도를 단순한 기능공 정도로 여기고 있었다.
공학
은 자연과학을 하는 이들보다 좀 열등한 사람들이나 하는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그러한 생각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차츰 바뀌어 갔다.내가 소속되어 있는 학과는 공대의 다른 과들과는 꽤 다른 ... ...
컴퓨터학습프로그램의 허실 현장교사들의 참여 반영돼야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기종이 다르므로) 컴퓨터 구입시 일괄적으로 구입하고 있는 형편이다. 다만 현재 시스템
공학
센터에서 개발하여 (주)SKC가 상품화한 중학수학 소프트웨어만이 삼보트라이젬 286, 88플러스, 젬파워, 희망전자의 국민보급형 PC 대우전자의 코로나 XT4000L 현대전자의 Super-16E등에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 ...
일·한 번역시스템 상품화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88년초 완성됐으나 그동안 로열티배분문제로 상품화가 지연됐다. 이 시스템은 시스템
공학
센터측이 언어정보처리기술을, 후지쓰가 전자 제어부분을 맡아 공동개발했는데 시간당 4만2천단어의 번역속도를 지닌다. 번역률은 평균 90% 정도인데 전문서적이나 매뉴얼의 경우 98%까지 올라간다.후지쓰측은 ... ...
선진 5위권 진입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협회 산하 8개 연구조합을 중심으로 시스템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감시제어 소프트웨어
공학
유통시스템 CAD·CAM(컴퓨터이용설계 및 생산) 생산관리분야에 대한 대형과제를 발굴, 추진해가기로 했다 ... ...
이공계 엘리트들 어디로 진출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모셔오기 위해서는 엄청난 공을 들여야 한다. 60년대는 화공, 70년대는 기계, 80년대는 전자
공학
이 각각 인기학과의 톱을 달려왔는데 최근에는 '첨단'분야에 속하는 전공이면 모두 인기학과군(郡)에 들어 어느 분야가 가장 유망하다고 잘라말하기 힘들다는 것.지난해에는 기업들이 석유화학분야에 ... ...
PART4 우주개발의 메카 NASA, 그 영광의 궤적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망상(妄想)의 도구 정도로만 생각하고 있었다. 이 무렵 미국이 낳은 위대한 로켓
공학
자 가다드(Goddard)교수의 피눈물 나는 연구개발 노력에 대해 그 유명한 뉴욕 타임즈도 '어른의 장난감'이라고 비웃는 기사를 실었을 정도였다.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전세가 불리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만회하기 위해 ... ...
(주)건인 시스템 변대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뿌리치기 힘든 유혹이었죠. 하지만 개인적인 성향을 살리기로 곧 결정했어요. 또
공학
은 현장이 주무대라고 느껴졌습니다."제자의 포부를 전해 들은 권교수는 미국의 휴렛팩커드사의 역사와 중소기업에 관한 정보를 들려주는 등 응원을 아끼지 않았다. 그리고 '한국의 휴렛팩커드사'가 되라는 ... ...
PART3 우리나라의 위성개발 우리도 1993년엔 관측위성 띄운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1993년에 외국의 발사체에 의해 발사될 예정이다.이 사업의 리더격인 나정웅교수(전기전자
공학
과)는 "이 위성에서 보내오는 데이터를 직접 활용하기 어려우므로 과학관측위성과는 달리 실험위성이라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적은 돈을 들여 인공 위성 설계제작기술을 많이 습득할 수 있기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