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응답하라! 수포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공식과 함께 유도과정이 나옵니다. 이 논리를 충실히 따르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선생님이나 친구에게 물어서 설명을 듣고 이해하는 능동적 공부를 하세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집합 A={a, b, c}의 부분집합 개수는 몇 개일까요? 답은 8개입니다. 물론 n개의 원소를 가진 집합의 ... ...
- 오! 나의 과학선생님! Oh! my Science Teacher!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10호
- SNS)에 붐 선생 수상 소식이 쫙 퍼졌더군요. 이렇게 기쁜 자리에 내가 빠지면 안 되지! 박 선생님이 수업에 흥미를 불어 넣는 과학 마술로 축하 공연을 하셨으니, 난 붐 선생에게 전수한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이용한 수업으로 흥을 돋우리다! 자, 그럼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 스마트폰 파워 온~ ... ...
- 유클리드와 사랑에 빠진 실험 수학자, 조지 하트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연합회에서도 작품을 사용하고 싶다고 연락이 왔어요. 2007년 할리우드 작가 파업 기간 동안 ‘화합의 상징’으로 사용됐지요.” 조지 하트 조각품은 퍼즐이다!조지 하트 조각품의 특징은 누구나 도전해 볼 수 있도록 퍼즐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그의 작품을 자세히 살펴보면 같은 ... ...
- 개미의 먹이 찾기와 인터넷의 공통점은?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컴퓨터과학과 발라지 프래배카 교수는 개미의 특별한 먹이활동 방식을 발견하고 ‘안터넷(anternet)’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듯 교수는 먹이가 풍부하면 밖으로 나간 개미가 되돌아오는 시간이 빨라지고, 자연스럽게 많은 개미가 밖으로 나가 먹이활동을 한다는 걸 알아냈다. 하지만 먹이를 찾아서 ... ...
- 수학으로 쓴 아름다운 글씨수학동아 l2012년 10호
- 크기가 같기 때문이다.네모꼴 글씨는 글자의 모양에 상관없이 같은 면적의 네모꼴 안에 들어가기 때문에 본문체로 적합하다. 또한 네모꼴 글씨는 훈민정음의 원리를 따른다. 현재는 한글을 모두 가로로 쓰고 있지만, 처음 한글을 만들었을 때에는 세로쓰기였다. 세로쓰기로 쓴 모든 한글은 ... ...
- 10화 세계를 바로잡는 첫 발, 다시 학교로!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지난 달부터면…. 폴, 너희들이 나타난 때야.”그때였다.“폴! 오랜만이다? 그 동안 어디 다녀온 거야?”어디선가 학생이 나타나 폴에게 아는 척을 했다. 폴도 아는 얼굴이었다. 폴b는 다시 고개를 황급히 숙이며 가방에서 모자를 꺼내 눌러썼다. 폴은 적당히 장단을 맞추며 대꾸했다.“으…, 응…. ... ...
- Intro. 2030 미래무기열전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에서 거대 로봇을 쓰러뜨린 레일건은 물론 시속 100km로 질주하는 투명전차가 20년 안에 완성된다. 현실에서는 불가능할 것만 같던 플라즈마 캐논, 투명 보호막 또한 이론적으로 만들 수 있다. SF영화를 현실로 가져오는 미래무기 속 과학을 들여다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30 ...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기술을 레이저 공격을 막기 위한 해법으로 내놓았다. 포토크로마틱스란, 투명하던 안경이 자외선을 흡수하면 검은색 선글라스로 변하는 기술이다. 앞으로 나노기술이 더 발달하면 레이저에 노출됐을 때 광학적 성질이 변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재료들로 몇 겹의 보호막을 만들면 ... ...
- 다 쓴 핵연료 골라서 다시 쓰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주민을 설득하는 일도 더욱 어렵다. 중간저장시설을 만들어 보관한다고 해도 수십 년 동안만 시간을 버는 셈이니 그 사이에 해결해야 할 일은 여전히 많다.[중저준위폐기물을 처리할 목적으로 경주에 짓고 있는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의 모습. 현재 공사율은 90% 정도다. ... ...
- 세 쌍둥이 우주망원경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모든 것을 두 개씩 만든다. ‘콘택트’라는 SF영화를 본 사람은 내가 무슨 말을 하는지 안다. 헤시도 물론 똑같은 예비장비가 있었다. 하지만, 모든 것을 다시 준비해 우주로 쏜 2002년엔 이미 태양주기의 시작점을 놓친 순간이었다. 임무의 일부를 포기하게 된 것이다. 상대적으로 느리게 진행되던 ... ...
이전5445455465475485495505515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