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도 뭉치면 강하다
과학동아
l
200506
제작이 가능한 것. 이에 비해 나노벌집 구멍의 지름은 4~9nm에 불과하다. 여기에
반도체
소자를 넣으면 집적도를 테라(1012)비트급까지도 높일 수 있다고.나노벌집 구멍의 안쪽 벽은 물을 싫어하는 막대 부분이 붙어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소수성이다. 그래서 여러 가지 유기분자가 들어있는 용액에 ... ...
02. 플래시 터뜨리는 황의 법칙
과학동아
l
200506
낸드는 저장 용량이 커 디지털카메라, MP3플레이어 등에 쓰인다.킹 오브 메모리차세대
반도체
메모리의 승자는 누가 될까? P램, F램, M램, 스핀트로닉스, 나노튜브와 나노와이어 등 세계적으로 기업마다 주력하는 종류도 다르다. 하지만 최후의 승자가 누가 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 ... ...
06. 디지털 우주의 빅뱅
과학동아
l
200506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디지털 우주의 팽창을 규명하는 디지털 허블의 법칙은 없을까?
반도체
의 집적도가 2년마다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은 지금까지 디지털 우주의 팽창을 설명하는데 가장 적합한 도구로 평가돼 왔다. 그래서 ‘무어의 곡선’‘무어의 시간’ ‘무어의 속도’ 같은 파생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5
필요로 하는 물질을 찾아 내고,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듭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칩이 점점 작게 개발되고 있는데요. 크기를 작게 하면서 성능이 뛰어난 신물질을 찾아 내는 일도 교수님의 연구가 큰 역할을 한답니다.이러한 연구로 세계적인 인정을 받은 교수님이지만 힘든 일도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05
구조 등 모습뿐만 아니라 어떤 물질인지도 알 수 있게 된다.1995년 ‘옵티컬 레터스’에는
반도체
칩과 나뭇잎의 투과영상이 실렸다. 많은 과학자들은 이 영상에 흥분했다. 투과영상을 찍은 대상 자체는 특별할 것이 없었지만 투과영상 기술이 바로 T선이었기 때문이다. 이 투과영상 덕분에 많은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05
유체의 흐름 같은 순간적인 현상을 규명하는데 이용하기도 한다.메모리 분야에서도
반도체
의 저장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으로 펄스 레이저 홀로그램이 주목받고 있다. 필름에 방대한 양의 정보를 한번에 기록할 뿐만 아니라 일부가 손상돼도 전체 정보를 복원할 수 있는 특성 덕분이다. 펄스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04
자기부상열차와 연료전지차에 들어가는 최고급
반도체
가 된다. 연구팀은 이미 KTX에
반도체
를 공급하는 일본기업에 이 기술을 역수출해 국산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다.의료 연구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 중 붕소중성자포획치료법(BNCT)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붕소는 열중성자를 잘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3
좋아하는 TV와 컴퓨터 등 나노 기술이 쓰이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랍니다. 조그만
반도체
하나에 수천 곡의 음악이나 70년 동안 발간된 40면 신문 기사 내용을 모두 저장할 수 있을 정도니 굉장하죠?나노의 세계는 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절대로 볼 수 없어요. 빛을 이용한 광학현미경으로도 관찰할 수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03
세계 시장을 보고 시작했지만 요즘 박 사장의 꿈은 더 커졌다. 그의 사무실 벽에는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1위부터 10위까지의 기업을 적어놓은 표가 붙어 있다. 박 사장은 “매출이 1조원을 넘기면 4, 5위 정도 할 것”이라며 “2010년까지 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우리 회사의 강점은 먼저 ... ...
50나노급
반도체
신재료 개발
과학동아
l
200502
50나노급 차세대
반도체
를 위한 기초 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포항공대 화학과 이문호 교수팀은
반도체
선폭을 머리카락 2000분의 1 굵기인 50나노미 ... 실현했다. 이 교수는 “이 유전박막은 안정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50나노급 이하 차세대
반도체
생산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