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11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나노소자는 현재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에 도달하고 있는
반도체
칩 개발에 돌파구가 될 전망이다. 잠재력 무한한 NBT 이번 특집에서는 이런 미래의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고 있는 나노바이오테크놀로지의 현주소를 소개한다. 생체분자를 모방하거나 그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11
연구자들은 “펩티드 나노튜브는 제조비가 싸고 화학적인 변형이 쉽다”며 “도체와
반도체
나노결정을 만들 때 틀로 이용하는 등 여러 응용분야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스라엘 텔아비브대 에후드 가지트 교수팀은 펩티드 나노튜브를 거푸집으로 써서 지름 20㎚의 은나노선을 만드는데 ... ...
열전
반도체
과학동아
l
200411
이제는 웬만한 사무실이라면 하나쯤 설치해 놓은 냉온정수기. 물을 깨끗이 걸러내고 순식간에 데우거나 식힌다. 크기는 작지만 냉장고처럼 윙윙거리지 않고 복잡한 압축펌 ... 뿐만 아니라 화장품냉장고나 와인냉장고 등 소형 냉각장치로 애용되고 있는 열전
반도체
의 원리를 살펴봤다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11
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1㎚ 정도인 속이 빈 길쭉한 분자로 구조에 따라 전도체 또는
반도체
이다. 연구자들은 탄소나노튜브에 DNA가닥을 붙일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전도도가 바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정 교수는 “추가 실험을 하던 도중 DNA가 단일가닥이냐 이중가닥이냐에 따라서도 전류량이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11
국민의 정보화 마인드까지 갖춰져 있어, 기술선진국을 제치고 세계 선두로 도약하면서
반도체
·휴대전화·LCD에 이어 PDP와 함께 디지털TV가 수출의 주역이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이렇게 말하는 그는 “기업은 돈이 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일단 개발을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10
‘미스터 칩’ ‘미스터 디지털’. 진대제 정보통신부 장관(52)의 별명이다. 삼성전자 시절 세계 최초로 64메가 D램, 1백28메가 D램, 1기가 D램을 잇따라 개발해 컴 ... 수 있는 단계이기 때문이다. 청소년들이 웨이퍼에 마음껏 그림을 그려넣어 자신만의 새로운
반도체
를 만들기를 희망한다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10
백 교수가 세계 최초로 만든 신물질은 자극에 대해 생물처럼 움찔거리며 반응을 한다.또
반도체
칩의 기능을 분자 크기에서 실현시키는 기억소자, 수소 기체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용기의 재료 등도 만들어냈다. 이런 연구결과들의 활용범위는 무궁무진하다. 현재보다 수만배 처리능력이 뛰어난 ... ...
재미 과학자, 자연계 메탄 분해과정 규명
과학동아
l
200410
이산화탄소와 함께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메탄이 박테리아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재미교포 과학자가 처음 밝혔다. 미국 캔자스대 김형준 박사(34) ... 없앨 수 있다. 또 구리와 잘 결합하는 메타노박틴을 이용하면 구리가 없는 물이 필요한
반도체
산업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국내연구진, 광결정 레이저 개발
과학동아
l
200410
불가능하다”고 말했다.‘광결정 레이저’ 로 불리는 이 장치는 특수한 구조로 된
반도체
기판으로 구성돼 있다. 이 기판에 아주 작은 양의 전류를 흘려주면 빛이 증폭돼 레이저가 발생한다. 지금까지는 레이저를 작동시키기 위해 다른 레이저가 필요했지만 이 장치는 전기만 연결하면 레이저를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10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1년까지 2조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특히 정부는 한국의 앞선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태양전지를 차세대 산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태양광발전의 가장 큰 문제는 현재 쓰이는 실리콘 태양전지가 비싸다는 것이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송진수 박사는 “비싼 실리콘을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