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쪽"(으)로 총 5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과학동아 l1993년 11호
- 근래에 발달한 전파 천문학 덕택으로 이 공간에는 매우 밀도가 큰 성운이 있어 그 뒤쪽에 있는 별빛을 가리기 때문이라는 것을 알았다. 바로 성간물질이 뒤의 별빛이나 산광성운의 빛을 차단한다는 것이 다.그래서 보이지 않는 이 성운을 암흑성운(dark nebulae or cluods)이라 부른다. 뚜렷하게 보이는 ... ...
- 생물 - 눈, 직경 24㎜의 정교한 카메라과학동아 l1993년 09호
- 있으므로 겨냥을 하는데 도움이 된다. 반면 초식 동물은 눈이 얼굴 양쪽에 붙어 있어서, 뒤쪽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 둘레가 다 보일 만큼 시야가 넓어 적을 재빨리 발견할 수 있다.착각(착시)은 당연한 것실제와는 다르게 느끼는 것을 착각이라고 한다. 착각 중 시각에서 일어나는 것을 착시라고 하며, ... ...
- 생물- 신경세포 3백억개 모인 거대한 정보처리용 컴퓨터과학동아 l1993년 08호
- 줄기에 해당하는 뇌간(중뇌 연수 간뇌), 뇌간에서 척추 속으로 늘어뜨려진 척수, 뒤쪽으로 돌출된 소뇌로 구성되어 있다. 크기로 비교하면 대뇌 약 1천4백g, 뇌간 약 2백20g, 척수 약 25g, 소뇌 약 1백30g이다.뇌는 몸무게의 2%에 불과하지만 허파가 들이마시는 산소의 20%, 그리고 심장에서 펌프질하는 피의 ...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과학동아 l1993년 08호
- 떨어지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근일점 통과 후 혜성의 먼지꼬리가 쳐지게 되는 혜성의 뒤쪽편은 더욱더 활발하게 된다. 근일점 통과전인 91년과 92년의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대활황이었던 것을 생각한다면 올해의 이 유성우가 어느정도의 황홀한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올 것인지 상상이 가지 않을 ...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과학동아 l1993년 05호
- 사이에 달이 오게 되면, 달은 태양과 함께 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게돼 태양빛은 달의 뒤쪽만을 비추게 되므로 우리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이 때를 합삭(合朔) 또는 신월(新月)이라고 부른다. 이 순간부터 경과한 시간을 1일 단위로 하여 0.0에서 29.5일로 나타낸 것이 월령이다.합삭 이후에는 해가 ... ...
- ④ 소리 발생에서 듣기까지과학동아 l1993년 03호
- 사이에서 조음되는 소리로 /ㅈ ㅉ ㅊ/ 등이 이에 속한다.4. 연구개음 - 연구개와 혀의 뒤쪽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소리로 /ㄱ ㄲ ㅋ/음절말의 /ㅇ/ 등이 이에 속한다.조음방법에 의한 분류1. 폐쇄음은 연구개를 위로 올려 비강의 통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입안의 한곳을 막았다가 갑자기 ... ...
- 망원경 조립·조정 요령과학동아 l1993년 03호
- 북쪽을 향해 놓고 삼각다리의 높낮이를 조절해 삼각다리를 지면에 수평되게 조절한다.②뒤쪽에 붙어 있는 극축상하미동장치의 조정나사를 돌려 적경축을 관측지점의 위도와 일치되는 경사각도로 조절한다(서울지방의 경우 약 37.5도).③극축 좌우미동장치를 조정해 적경축을 하늘의 북극방향이 ... ...
- 스위프트-터털혜성 1백35년만에 지구 방문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유성우가 활발해진다. 그 중에서도 근일점 통과 후, 혜성의 먼지꼬리가 뻗게되는 혜성의 뒤쪽편은 더욱 활발하다. 근일점 통과 전인 91년과 92년의 페르세우스 유성우가 예기치 않은 대활황을 보였으므로 올해 93년의 페르세우스 유성우는 더욱 활발한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예측이 가능하다.관측 ...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과학동아 l1993년 01호
- 시킨 것이 반사망원경이다. 반사망원경의 경통 앞에서 속을 들여다 보면 통의 뒤쪽으로 커다란 오목거울을 볼 수 있다. 이 오목거울을 '반사경' 또는 '주경'이라고 한다. 주경의 지름도 대물렌즈와 같이 구경이라고 한다. 반사망원경은 주경을 보호하는 셀이 경통 안쪽 깊숙이 들어 있어 보기 어렵기 ... ...
- 각양각색인 별들의 진화과학동아 l1992년 10호
- 자리를 잡는다.별의 분광형은 표면온도에 따라 O-B-A-F-G-K-M 7개의 형태로 분류되는데, 뒤쪽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은 것이다. 예를 들어 O형의 별은 표면온도가 약 5만도 가까이 되며 청백색을 띠게 되지만, A형은 약1만도에 흰색, G형은 약5천도에 노란색, M형은 3천도에 붉은색을 띠게 된다. 태양은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