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도"(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반도의 위성사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과학동아 l1986년 07호
- 화상은 씬마다 인접 씬과 중복된 부분이 있다. 남북방향으로 화면의 약 10%, 동서로는 위도에 따라 다르나 대체로 25~30%가 중복된다. 모자이크는 이 중복부분을 접속시켜 복수의 씬을 한장의 화상이 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모자이크 화상을 만드는 데에는 2가지 처리를 하게 되는데 하나는 두 ... ...
- 4계절의 기후는 어떻게 바뀌어지는가?과학동아 l1986년 06호
- 남쪽의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기단과 북쪽의 고위도기단 사이에 형성된다. 고위도기단으로는 냉량다습한 오호츠크해기단과 비교적 습도가 적은 대륙기단의 두 종류가 있다. 장마철은 대체로 6월 24일경, 빠른 해에는 6월 15일경 시작되어 약 한달간 지속된다. 장마기간중에는 거의 매일 비가 내리나 ... ...
- 살아 움직이는 지구과학동아 l1986년 06호
- 대륙의 위치가 되었다는것. 이 분산된 대륙에 남은 판게아 대륙때의 식물이나 동물이 위도가 다르고 완전히 별도의 기후조건 아래 고립되어 독자의 진화계열을 따라 현재의 동식물상이 되었다고 한다. 베게너의 이 이론은 그뒤 여러가지 방법으로 증명되었다. 지구과학과 관련기술이 진보되어 1 ... ...
- '광물의 표본실' 한반도의 천연자원과학동아 l1986년 05호
- 극도로 피폐되었기 때문에 자원가치는 많이 떨어진다고 말할 수 있다.한반도의 삼림은 위도를 따라 한대림(침엽수림) 온대림(혼합림) 난대림(활엽수림)의 3개 지역으로 크게 나뉜다. 한대림 지역은 압록강·두만강상류의 고원지방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고, 난대림은 남해안과 남해도서지방에 ... ...
- 인도과학동아 l1986년 05호
- 0m 높이로 융기한 제3기층의 습곡축으로 형성되어 있다.세계절과 몬순기후인도의 북반은 위도상 아열대에서 온대에 위치하지만 기후상으로는 히말라야산맥이 장벽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열대몬순기후를 나타낸다. 10월 하순에 시작되는 겨울은 북부에서는 곳에 따라 영하로 내려가고 강수량이 적고 ... ...
- 꽃은 언제 어떻게 피고 있나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진달래의 변화종인데 '털진달래'라고 부른다.어쨌든 꽃피는 시기는 환경의 변화와 위도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 셈이다. 그러나 이같은 원리는 야생화에 해당되는 것이지 사람들이 직접 가꾸는 재배식물의 꽃에는 계절의 구분이 없어졌다. 인공적으로 꽃이 피는 조건들을 만들어내고 있기 때문이다 ... ...
- 높은 산에서 자라는 식물들과학동아 l1986년 04호
- 순으로 수직분포를 나타낸다. 고위도로 갈수록 고산식물의 분포하한계선은 낮아지게 된다.우리나라에서 고산식물은 대략 1천5백m 이상의 높은 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한라산에서는 1천6백m이상, 지리산에서는 1천5백m 이상, 설악산과 금강산에서는 1천4백m 이상, 관모봉과 백두산에서는 1천2백m ... ...
- 제주도의 열대과일, 에떻게 기르고 있나과학동아 l1986년 04호
- 바나나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도 기후조건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우선 서귀포가 위도상으로 남쪽인데다가 연평균기온이 제주시보다 2도가량 높으며 일조량도 훨씬 많다. 그리고 겨울철에 대륙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북서풍을 한라산이 막아주고 있기 때문에 서귀포지역이 유리하다.현재 ... ...
- 금수강산을 수놓는 식물들의 세계과학동아 l1986년 04호
- 많이 분포하는 종으로서 유럽이나 북아메리카 중국, 일본같으면 너도밤나무가 분포할 위도이다. 한반도에서는 울릉도를 제외하면 너도밤나무는 중신세의 화석으로 나올 뿐이다. 너도밤나무가 없는 까닭을 건조로 보는 사람도 있고, 여름의 심한 더위로 보는 이도 있으나 결론은 얻지 못하고 있다 ... ...
- 양서·파충류과학동아 l1986년 03호
- 특산종은 도롱뇽. 북한에서만 서식하는 북살모사우리나라의 양서·파충류는 위도상 넓은 범위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이나 중국에 비하여 종류수가 많지 않지만 위치적으로는 일본이나 중국의 종류를 연결해주는 중요한 종류들이 분포하고 있다. 양서강에는 도롱뇽목과 개구리목이 있으며, ... ...
이전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