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위선
씨줄
권
Widow
widow
d라이브러리
"
위도
"(으)로 총 544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노르드비크 지방에서는 6백m 깊이까지 얼었음이 확인되었다. 삼림한계선이란 고
위도
지방에서 저온으로 삼림이 성립될수 없는 한계선을 말하는데 대체로 60∼70도 부근이며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기온이 10℃인 등온선이 이 한계선과 거의 일치한다. 삼림한계선 이남 지역에서는 여름에 동토층의 ... ...
핼리별로 지구촌이 떠들석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근일점을 지난 핼리가 지평선 가까이에 있어 보기 힘든 것은 남십자성이 북반구의 중
위도
위치인 한국에서 보이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다. 그러므로 남반구에 가면 천정 가까운 가장 보기쉬운 위치에서 장시간 볼 수 있다. 이에 맞춰 일본 항공사에서는 남반구 항행편 승객을 끌고있다. 제트기는 ... ...
양평지방은 왜 추운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급격히 대규모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의 해수온도 상승에 따라 태평양중
위도
의 고기압이 발달한다. 이 발달한 고기압이 시베리아 상공의 한랭기단이 남으로 내려오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엘니뇨현상이 83년11월 돌연 사라져버렸다. 그레서 시베리아 한랭기간이 남하하기 ... ...
핼리혜성 다시오다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년 1월25일경까지와 86년 3월 초순부터 4월말까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가 위치한
위도
(북위 35~40도를 기준)를 고려하면 상황은 약간 달라진다. 애석하게도 핼리혜성이 지구와 가장 가까이 접근하고 가장 밝게보이는 4월10일을 전후한 며칠동안은 지평선 아래로 핼리혜성이 사라지므로 관측이 ... ...
이전
51
52
53
54
55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