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길엽초'신세 면하게 돼'길엽초'신세 면하게 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개념 일반화의 비중이 높지요. 즉 상급학교일수록 교과서에 나와있는 것을 직접
채집
해서 가르키는 경우가 드물어요. 그러나 과학은 그렇게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에요. 이번 탐사를 경험삼아 학교에 돌아가면,학교주변의 식물을 조사케하고 도감을 찾아보게 할 작정입니다.양성:아무튼 이번 ... ...
망원경을 가진 인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것이다.해양조사 장비를 가지고 그곳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쟀고 플랑크톤(Plankton)도
채집
했다. 실습이 끝날 즈음에는 나의 현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바다 밑의 지형도 어느 정도 알게 되었다.무엇보다도 가장 즐거운 시간은 점심시간이었다. 이곳의 물고기는 어떤 종류인가를 파악하고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태평양제도 원산. 열매는 원주민의 주식이고 목재는 건축 조선 등에 씀) 묘목을
채집
하러 갔다. 이 나무를 서인도제도에 이식하면 흑인노예에게 값싸게 식품을 공급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이런 여러 원정이 유럽인에 의한 폴리네시아 지배의 제1단계이다. 이어 1797년에는 영국의 선교사단이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채집
한 곳, 또 6.25 때 우리나라에서 출혈열 환자가 처음 발생한 곳, 그리고 나의 동물
채집
원이 들쥐를 잡다가 병에 걸린 곳의 이름, 즉 한탄강을 따서 '한탄바이러스'(Hantaan Virus)라고 명명되었다.당시 우리의 발견은 정말 학문적인 '한강의 기적'이었고, '개천에서 용이 났다'는 속담에 비유될 정도였다 ... ...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테트로도톡신이 검출되었다. 86년의 일이었다. 그뒤 지금까지 복과 영원의 피부에서
채집
된 비브리오균 외 여러가지 세균에서 이 독을 만들어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지금은 복독의 원인이 세균으로 좁혀지고 있다.그러나 테트로도톡신이 어떻게 합성되는가. 또 어째서 이런 독을 가진 동물이 ... ...
화석연구의 외길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뮐러교수의 알선으로 일본 쿄토대학의 '노가미' 박사로부터 왜정시 북한지역에서
채집
해간 시료들에서 산출된 코노돈트 미화석을 기증받을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독일 학술지에 발표하였다. 만일 이때에도 국내에 코노돈트 전공자가 없었다면 그것마저 일본인에 의하여 발표되었을 ... ...
강력한 시력장해 교정렌즈 나올듯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된 2개의 렌즈를 합친것. 바깥쪽은 통상의 배율렌즈이고 안쪽의 것은 모든 자연광을
채집
하도록 설계된 어안렌즈이다.그는 인간의 눈의 진화뿐만 아니라 빛을 감지하여 상(像)을 잇는 기능에 대해 오랜동안 관심을 가져왔다.이 렌즈는 아직 시험모델단계이며 앞으로 임상적 실험이 필요한 상태다. ... ...
울릉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중점을 둔 행사이기때문에 지금까지 밝혀진 울릉도 특산식물을 확인하고 간단한
채집
을 하는데 중점을 두어 진행했다.탐사기간 중 해상에는 폭풍주의보가 계속 발효중이었고 비가 계속 와 탐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합류하기로 했던 지도교수팀이 포항에서 발이 묶여 나흘 동안을 ... ...
가르치는 사람, 현장 경험 많아야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보였읍니다. 아마도 자연조건이 좋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비를 맞는 등 강행군해서 얻은
채집
품을 학교로 가지고 가 학생들과 함께 공부할 재료로 쓸 예정입니다. 앞으로는 전국의 과학교사들이 각 지역마다 모여서 놀이겸 탐사를 진행하는 프로그램이 많이 있었으면 합니다. 저도 돌아가서 이런 ... ...
이색동·식물과 민속자료를 한눈에 제두도 민속자연박물관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인도 이집트에서 월동하는 것으로서 1978년 길을 잃고 가파도에 날아와 죽은 것을
채집
한 것이다. 또 천연기념물이며 희귀한 여름새의 팔색조도 전시돼있다. 팰색조는 한라산의 남쪽 기슭과 거제도 진도 등에서 번식하며 인도지나 보르네오 등지에서 월동한다.|자연환경에서 비롯된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