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행
항해
국제금융공사
공사
국제
금융
국제민간항공기구
d라이브러리
"
항공
"(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술이 된 우주] 우주에서도 눈송이가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사진을 업데이트 했어요. 모두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위성이나 비행기에서 촬영한
항공
사진이지요. 위에 눈송이처럼 보이는 사진도 그중 하나예요. 사우디 아라비아의 알자우프 지역에 있는 물 공급 시설을 높은 곳에서 촬영한 것이지요. 알자우프 지역은 사하라 사막에 있기 때문에 오아시스 ... ...
[한페이지 뉴스] 달 콘크리트의 원료 ‘트로일라이트’엔 전류가 흐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유인 달착륙 계획인 ‘아르테미스’와 함께 달 기지 건설 및 달 궤도 우주정거장인 ‘게이트웨이’를 설치할 계획이다.달에 기지를 만들려면 콘크리트와 같이 단단한 물질이 필요하다. 하지만 콘크리트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를 모두 지구에서 가져가기란 현실적으로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한 데 담은 사진 한 장에는 저마다 진화 단계가 다른, 최소 1500개의 은하가 나타났다.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허블 딥 필드’로 불리는 이 사진을 공개하면서 1969년 인류 최초로 달 표면을 밟은 닐 암스트롱의 명언을 본 따 ‘우주에서는 하나의 작은 영역이지만, 우주의 과거를 위한 위대한 도약(One ...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아니라 해외에서도 발음하고 기억하기가 쉬웠다. 이런 훌륭한 이름은 한국
항공
우주연구원 엔지니어가 지은 게 아니었다. 대한민국 국민들이 직접 제안했다.2009년 2월 23일부터 3월 31일까지 진행된 명칭 공모전에 전국 2만2916명이 참가해 총 3만4143개의 이름을 제안했다. 대상작인 ‘나로’는 우리나라 ... ...
제임스 J. 복 스피어x 총책임자 "최초의 은하 찾겠다" [한글 번역본]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경계를 허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미국과 한국 국민이 각국의 우주연구기관인 미국
항공
우주국(NASA)과 한국천문연구원(KASI)을 통해 이런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은 특권이라고 생각한다. ... ...
[과학동아 X 긱블] '밸런싱체어' 파도야 쳐라, 네가 아무리 거세도 나는 흔들림이 없으니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바로 그다음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입니다. 1960년을 전후해 처음 개발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였던 ‘아폴로 프로그램’에도 적용된 알고리즘이죠. 지금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주식 예측 등 확률 기반으로 현재 또는 다음 상태를 예측해야 하는 곳에 널리 사용되고 ... ...
페임랩 도전기 “내년엔 ‘노잼’은 없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있으니까요. 실제로 디라이브러리에는 다룰 만한 주제가 넘쳐났습니다.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에 참가할 우주인을 선발한다는 기사도 있고, 코로나19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의 과학적 효과를 분석한 기사도 찾았습니다. 인간을 달에 보내려는 상황에서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웹툰으로는 전 세계에서도 둘째가라면 서러운 유명한 작품이다. 이 웹툰의 작가는 미국
항공
우주국(NASA) 로봇공학자 출신인 랜들 먼로다. 웹툰의 한 달 조회수는 7000만 회 이상이고, 웹툰을 추려낸 첫 번째 책 ‘위험한 과학책’은 2014년 발간 이후 전 세계 27개국에서 100만 권 이상 판매됐다. 세계 ... ...
[한 장의 과학] 파커 솔라 프로브가 전한 태양의 속삭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이 태양풍이 불 땐 어떤 소리가 날까요?“히유웅~ 스으~ 쉬익” 지난 1월 21일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태양풍이 내는 소리를 공개했어요. 그런데 사실 우주 공간은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태양풍의 소리를 들을 순 없어요. 이는 지난해 8월 11일 미국 플로리다에서 발사된 태양 탐사선 ‘파커 솔라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위치한 소행성 아로코스(Arrokoth)의 생성과정이 처음 밝혀졌습니다. 2019년 1월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의 무인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가 탐사한 지 1년 만입니다. 천문학계는 큰 관심을 나타냈습니다. 아로코스는 머리와 몸통이 붙은 눈사람 모양으로 생겼는데, 이 두 천체가 어떤 과정으로 결합했는지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