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공"(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1920~2020, 로봇 100년] 로봇 혁명 히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단순 반복 작업뿐이었다. 로봇은 혁명을 거듭했다. 1997년 무게가 11kg밖에 되지 않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소형 탐사로봇 ‘소저너’는 화성 표면에 착륙해 인간 대신 화성의 정보를 수집했다. 2001년 미국 뉴욕 맨해튼의 110층 세계무역센터가 테러로 무너졌을 때는 ‘팩봇’이 건물 잔해 속으로 ... ...
-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측면에서는 미국의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기계항공공학부 교수의 로봇을 참고하셨다고요?맞아요. 인간의 형태를 벗어난 로봇을 추구하고,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무엇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된다는 점에서 미래에 실제로 구현될 로봇과 철학적으로 가장 근접해 ... ...
- 금성에도 기후변화가? 황산 구름층의 비밀을 찾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 해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0년 10월과 2021년 8월, 유럽우주국(ESA)과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개발한 수성 탐사선 ‘베피콜롬보’가 수성까지의 여정 중에 금성 근접 관측을 실행하는데, 이 시기에 맞춰 금성 탐사선 아카쓰키와 지상 망원경으로 금성을 공동 관측하는 국제 캠페인을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모든 학생에게 전공 선택 전 지도교수(pre-major advisor)를 멘토로 연결해 준다. 내게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출신 명예교수님이 배정됐다. 교수님을 주기적으로 만나면서 진로 상담도 하고, 힘든 일을 털어놓기도 했다. 또 기숙사마다 담당 교수님이 있었는데, 종종 교수님 댁에 가서 인생의 조언도 ... ...
-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9월 16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체류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 비행사 닉 헤이그가 ISS에서 찍은 사진 한 장을 트위터에 공개했어요. 사진에는 사람의 홍채처럼 보이는 동그란 지형이 담겨 있었지요. 이는 지름이 50km에 달해 우주에서만 볼 수 있는 ‘리차트 구조’로 사하라 사막 서부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0.2km 이하로 천천히 움직이도록 설계해야 안전하다. 세계에서 가장 긴 거리를 이동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 로버 ‘오퍼튜니티’도 최대 시속 0.18km로 11년 동안 고작 45.16km를 움직였다. 한국형 달 탐사 로버는 이보다 약간 느린 시속 0.14km로 움직인다. 시연 현장은 최대한 달 중력 환경을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이송하는 데 꼬박 10시간이 걸렸다. 김해국제공항에 도착한 뒤에는 대한항공 테크센터 보호구역으로 옮겨 세관검사와 1차 성능검사를 했다. 그리고 이튿날 자정 특수 무진동 대형 트레일러에 나로호 1단을 실었다. 다시 육로 이송이었다. 운송과정 도중 브레이크를 거의 밟지 않고 시속 50~60km로 정속 ... ...
-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있죠. 또 실제로 대비하는 데 사용하려면 정확성과 신뢰도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트추진연구소, 극지연구소와 함께 예측 오류를 줄여나가기 위한 작업을 계속 진행할 예정입니다 ... ...
- 태양계의 끝을 넘다! 보이저 2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치직…칙…, 아아, 휴스턴, 휴스턴, 혹시 제 신호가 잡히나요? 여긴 보이저 2호예요. 쌍둥이 보이저 1호와 함께 지구를 떠난 지도 어느덧 42년이 지났네요. 그동안 태양계 ... 행성 및 태양권 물리학 연구소 연구원),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미국항공우주국(NASA ... ...
- 보이저…175년 만에 찾아온 기회를 붙잡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한 번에 모든 행성을 관측할 수 있다는 거예요. 외행성* 탐사 계획을 세우던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에게 놓칠 수 없는 기회였죠.지구에서 발사되는 로켓이 지구의 중력에서 벗어나려면 초속 11.2km의 ‘탈출 속도’가 필요해요. 그런데 외행성으로 가려면 지구보다 훨씬 질량이 큰 태양의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