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부정"(으)로 총 6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2018.05.12
- 시선과 기대에 대한 과한 걱정 5) 모든 일에서 자기 검열을 하며 자신의 좋은 측면보다 부정적인 측면을 선택/확대해석하기 때문에 일상의 작은 일에서도 사사건건 스트레스를 받음 6) 일이 잘못됐을 때는 그걸 자신의 능력/자질 부족, 자기 성격이 이상한 탓이라며 개인적인 문제로 받아들임. ... ...
- 70만년 전 인류는 어떻게 바다를 건너 필리핀에 왔나동아사이언스 l2018.05.03
- “호모에렉투스 등 옛 인류가 배를 만들었다는 증거는 아직 없지만, 가능성을 완전히 부정할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화석은 필리핀 북부 섬 루손에서 발견됐다. 주변은 70만 년 전이나 지금이나 깊은 바다다. 어떻게 인류가 갔을까? - 사진제공 네이처 한편 3월에는 중국 중부 허난성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이상적인 정서 상태’나 내가 반드시 느껴야 할 행복감의 크기 또는 꼭 피해야 할 부정적 정서들 같이 감정에 옳고 그름의 기준을 정할수록 자연스럽게 올라오는 다양한 감정들의 존재에 쓸데없이 실망감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저 한 발짝 떨어져 슬플 때는 ‘내가 지금 슬프구나’, 기쁠 때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마찬가지다. 단점을 지적받았거나 스스로 깨달았을 때 이것을 나라는 사람 전반에 대한 부정으로 받아들이는 경우 훨씬 방어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잘못을 자신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더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적응적인 행동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Tangney et al., 2005).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 무덤이 있는 영국 테임즈 강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힌다는 소식은 실로 놀랍다. 신을 부정하는 과학자의 유해가 사원에 안치된 사례는 그동안 없었기 때문이다. 그가 다른 세상에서 편히 영면하길 기원한다. 출처 : 과학동아 4월호 이미지 : 동아일보, 김진의 교수 제공 ▶과학동아 4월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만성적인 수면부족이 학습과 기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건 “해마에서 신경생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우울증으로 이어지는 것도 신경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항우울제가 효과가 있는 건 신경생성을 촉진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그래도 아직 나는 대단한 사람이라고!’라고 생각하고 싶어서 눈 앞의 문제들을 부정하고 나는 아직 잘 나가고 있다던가 이런저런 문제들은 다 내가 아닌 ‘남의 탓’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스스로를 얼마나 많이 좋아하거나 좋아하지 않느냐(자존감의 높낮이)와 상관 없이 자존감 수호에 대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괜히 예민하게 구는 거다!’라며 문제의 심각성을 평가절하 하거나 문제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 있다. 문제 해결 방법이 마음에 안 들거나 자꾸 불편한 사안이 문제로 올라오는 것이 싫을 때 자주 사용되는 방법으로 ‘해결 기피(solution aversion)’ 현상이라고 불린다 (Campbell & Kay, 2014). 어떤 ...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동아사이언스 l2018.03.14
- 호킹 박사는 “‘제 2의 금성’은 과장된 표현이지만, 계속해서 기후 변화의 증거를 부정한다면 우리뿐 아니라 전세계 아이들을 위험에 빠뜨리는 환경오염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이보다 한 달 앞선 6월 호킹 박사는 BBC 인터뷰를 통해 “핵 위협, 바이러스, 지구온난화 등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또는 몸 구석구석에 느껴지는 감각 등에 집중해 보는 등의 명상이 불안과 우울 등의 부정적 정서를 줄여주고 긍정적 정서는 높여주는 등 정신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들이 있었다(Hölzel et al., 2011). 자신의 숨소리나 바깥의 새소리에 집중해 불안과 우울 등을 줄이는 등 정신건강에 도움 되는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