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공"(으)로 총 64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2016.01.02
- 1933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난 라우프는 시카고대에서 지질학을 전공하고 하버드대에서 고생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몇몇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1978년 시카고 필드박물관 지질학 책임자로 옮겼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1982년 대학(시카고대)으로 돌아갔다. 라우프는 ... ...
- 성년식 앞둔 철도연, 한국형 철도 기술을 세계로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3
- 70선에 선정된 것을 축하합니다. 남다른 느낌이 드실 것 같습니다. 독일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에 입사했을 때만 해도 우리나라 고속철도의 수준은 걸음마 단계였습니다. 경부고속철도 건설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었죠. 그리고 프랑스, 독일, 일본 등 선진국들은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 이리에서 태어난 버너는 지질학도인 형 폴의 영향으로 미시건대에서 지질학을 전공했고 1962년 하버드대에서 퇴적물의 황화철 형성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카고대를 거쳐 1965년 예일대에 자리를 잡은 버너는 2007년 은퇴할 때까지 42년 동안 봉직했고 이후 명예교수직을 유지했다. 버너는 ... ...
- 생각하게 하는 영화 '아일랜드(2005년 작)'IBS l2015.11.18
- 자신들의 죽음을 뜻하는 것인지도 모른 채. 김동규 연구위원은 학부 2학년 때 세부전공을 생명과학으로 결정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시기에 이 영화를 관람했다. 신선한 자극을 받은 그는 결론적으로 인간의 욕심에 대한 깨달음을 주는 영화라고 판단했다. 그는 "고객의 필요로 인해 복제인간이 ...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한만춘 교수는 1960년 번역 출판을 시작으로 , , , , 등의 저서를 출간해 후학들의 학문 증진에 힘썼다. 연세 101 아날로그 전자계산기 - 문화재청 제공 그의 또 하나의 업적으로 잘 알려진 것이 1961년 제작한 ‘연세 101 ... ...
- ”누구나 편리하게 위성자료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전에도 비슷한 일을 하셨나요? 오랫동안 관련된 분야에서 일해왔어요. 원래 광학 분야를 전공했었는데 위성관측 분야를 연구해보라는 조언을 받고 해양위성과 처음으로 관계를 맺게 된 것은 일본우주센터 (JAXA) 에 일을 하게 되면서부터였어요. 일본에서는 GLI(Global Imager) 라는 센서를 담당했어요 ... ...
- 하루 소주 몇 잔이 몸에 이로운 까닭2015.11.09
- 기사를 발견했다. 당뇨병 만연이 오염물질 때문이라는 주장을 담은 특집기사로 화학을 전공한 필자로서는 무슨 소린지 궁금했다. 그런데 읽다보니 이런 주장을 하는 과학자에 대한 인터뷰성 기사였고 그 과학자는 한국에서 연구하는 한국인, 즉 경북대 의대 이덕희 교수였다. 그때까지 ... ...
- [COOKING의 과학] 가을무는 인삼보다 좋다?!KISTI l2015.11.07
- 먹는 것은 삶의 가장 기본적인 일이죠. 모두가 어려웠던 옛날에는 무조건 많이 먹는 것이 우선이었지만, 요즘 트렌드는 맛있는 음식을 건강하게 먹는 것입니다. 그런 트렌드를 반영하듯, TV 프로그램에서는 요리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늘어났고, 최근에는 메인 시간대에 편성되면서 대중의 인기를 받 ... ...
- 원전 규제, 생각보다 더욱 철저하고 꼼꼼하더라동아사이언스 l2015.11.06
- 등에 대한 이론 교육을 받은 후 실제 발전소 일대를 둘러봤다. 대학원에서 보안을 전공하고 원자력 사이버 보안처럼 특수한 분야를 접할 수 있다는 기대감에 입사를 결심했다는 김상우 씨는 월성 발전소의 규모에 완전히 압도됐다고 말했다. 거기에 깨끗한 시설까지 놀라움의 연속이었다고 한다. ... ...
- ['고리 1호기' 특집 (1)] 한수원 김현준 안전점검 차장 “고리 1호기에 바친 땀과 열정"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10.23
- 많이 알아도 발전소에 대해 모르면 부정적인 분들이 많아요. 카이스트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하고 유학까지 갔다온 친구가 원전에 대해 불신하는 데에는 할 말이 없었어요. 학자는 수많은 실험 중 1%만 성공해도 성공하지만 엔지니어는 0.01%만 실패해도 실패한다는 게 우리 원전 기술인들의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