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커튼’처럼 물질 뿜는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최근 국제 공동연구진이 엔셀라두스의 정확한 분출 과정을 시간대별로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등이 참여한 공동 연구팀은 카시니 우주 탐사선이 보내온 엔셀라두스의 사진 자료를 이용해 엔셀라두스의 분출 활동을 시뮬레이션했다. 그 결과 기존에 제트기류와 유사할 ... ...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피해가 늘어나면서 국내외에선 이를 막기 위한 안티랜섬웨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미국 보안회사 브로미움(Bromium)은 가상화 기술을 사용한다. 가상화 기술은 쉽게 말해 물리적으로는 하나인 컴퓨터 안에 여러 논리적 컴퓨터를 만드는 기술이다.예컨데 기존의 컴퓨터는 하나의 운영체제(OS)가 ...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하면서 질병 퇴치에 보다 근본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됐으니까요." 그는 한국뿐 아니라 미국에서도 과학자를 꿈꾸던 많은 학생들이 의사의 길을 선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중에는 다시 실험실로 돌아오는 학생이 반드시 있다고 한다.과학이 주는 즐거움 때문이다. 그는 요즘 의학에서 ...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원인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parkhanson@gmail.com 유전자 속에 '녹색갈증'이 각인돼 있다미국 하버드대 생물학과 교수 에드워드 윌슨은 모든 인류에게 바이오필리아, 다시 말해 '녹색갈증'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인간은 오랜 세월 동안 진화를 거치면서 최적의 생태적 공간을 좋아하는 ... ...
- 멍청한 질문의 가치를 아는 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모았던 이 책은 작년 9월 미국에서 출간된 뒤, 아마존에서 30주 연속 베스트셀러에 오르며 미국에서만 100만 부 이상이 판매됐다.이 책에 실린 질문들을 보면 그 기발함에 실소가 터질 정도다. ‘추운 겨울, 자전거를 얼마나 빨리 타야 피부가 따뜻해질까’, ‘야구공을 광속구로 던지면?’, ‘70억 ...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스웨덴 카롤린 스카 연구소의 로렉스 버긴항 박사팀이 2014년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우 리가 가상현실을 통해 몸을 벗어났을 때 기억상실증 이 생길 수 있다. 박사팀은 독특한 실험을 설계했다. HMD를 쓴 사람 앞에 연구자 한 명이 앉아 이야기를 ...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넥서스 5 모델을 사용한다고 가정하고(이 모델 은 지질변화를 1cm까지 감지할 수 있다) 미국 캘리포 니아의 헤이워드 단층 지진(규모 7.0)과 2011년 동일본 대지진(규모 9.0)에 얼마나 경보를 잘 할 수 있는지 시 험했다. 스마트폰 GPS는 진앙의 위치를 정확히 찾았 고, 무엇보다 지진파(S파)가 도쿄 도심에 ... ...
- 가짜 백수오 논란의 중심 ‘이엽우피소’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확인하기 어려웠다.이엽우피소가 문제가 되는 건 이것이 가짜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이엽우피소를 독성식물로 분류한다. 한국소비자원이 소개한, 중국 난징철도기술대의 1998년 논문에 따르면 쥐에게 이엽우피소를 투여하면 간 기능 손상, 체중 감소 등의 문제를 보였다고 ... ...
- 빛으로 하는 우주 항해, ‘라이트세일(LightSail)’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유명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공동창립한 미국의 비영리단체 ‘행성협회(The Planetary Society)’가 태양풍을 추력으로 움직이는 우주선을 개발하고 있다. 5월 20일 시험비행에 나설 예정이다.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것을 밝힌 데 불과했다.크리스퍼가 유전자 가위로 활용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은 미국 버클리대 제니퍼 다우드나 교 수와 독일 하노버대 엠마뉴엘 카펜디어 교수가 이 끄는 공동연구팀이다. 이들은 크리스퍼 적응면역에 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s9' 단백질을 세균에서 찾 아냈다고 '사이언스 ... ...
이전5465475485495505515525535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