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대한 힘 공명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연구하면 물질 내의 여러 구조에 대해서 알 수 있다.핵자기공명 현상을 의학적인
분야
에 응용한 장치가 자기공명 단층촬영장치인 MRI다. 이것은 X선을 사용하지 않고 인체의 단면 사진을 찍는 장치인데, X선 단층 촬영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진다. 인체의 대부분은 물(H2O)로 이루어져 있다. 신체 ... ...
1. 현장교사에게 듣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문제를 예로 하여 출제의 기본 방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첫번째 문제는 생물
분야
의 실험 장치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물리적인 개념을 묻는 문항으로 평가원이 말하는 통합 교과적인 문항이다.①기본 개념의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통합 교과 문항은 체감 난이도는 높은 것 같으나 교과의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드물지도 모른다. 군사적인 비밀과 연결돼 철저하게 보안을 요하는 것이 바로 우주개발
분야
이기 때문이다. 러시아 우주개발 주요 조직러시아항공우주국(RKA)모스크바에 위치. 1992년 대통령 포고에 의해 창설됐다. 미국의 NASA본부와 같이 국가 우주정책을 지도하고 있다. 직원은 약2백명. 책임자는 ... ...
2. 카오스 이론으로 스트레스 측정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비선형 신경 물리학 실험실은 작년부터 G7 프로젝트의 하나인 감성공학
분야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피로와 스트레스를 객관적으로 측정해서 스트레스에 따른 신체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보다 나은 삶을 위해 응용될 수 있는 연구를 하는 것이다.피로나 스트레스 자극은 종류가 다양하고 신체의 ... ...
3. 점쟁이 예언을 상대론으로 풀어라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이 과목을 잘 배우고 이해하면 전공과목을 원활하게 습득하고, 향후 각자의 전공
분야
에서 폭넓고 창의적인 연구활동을 하는데 초석이 된다. 그래서 선진국의 유명대학에서는 으레 노벨수상자나 그 대학에서 강의를 가장 잘하는 교수가 일반물리학을 가르친다.일반물리학을 어떻게 가르쳐야 ... ...
3. 컴퓨터와의 윙크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그래서 무인 감시 시스템이나 가상현실 게임 등 특별히 높은 정확도를 요구하지 않는
분야
에서는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사람의 표정이나 눈빛, 제스처, 더 나아가 음성까지 알아들을 수 있는 컴퓨터는 더 이상 기계가 아닐지 모른다. 인간을 위해 만든 기계를 더 인간답게 꾸미는 일은 ... ...
④ 이동통신 궁금증 풀이 10문 10답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0세기 최고의 핵심 기술로 중무장한 이동통신은 변화가 무척 빠른
분야
. 더욱이 우리에게 알려진 연원이 짧은 탓에 이용과 관련한 온갖 설이 난무하고 있다. 새로운 테크놀러지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동통신 활용 능력을 두배로 키워줄 사항을 문답으로 알아본다.1. 도심 빌딩 ... ...
2. 잠재의식을 키우는 창의성 교육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으로 정의해야 한다. 즉 지식이 적으면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다. 어느
분야
이든 기본적인 지식과 정보가 없으면 새로운 전문적인 아이디어가 생겨나기 어렵기 때문이다.새로운 아이디어의 형태로 나오는 창의적인 결과는 '창의적인 능력X(창의적인 노력+α)'에서 나온다. 창의적인 능력이 ... ...
4. 한국인의 맛과 향을 찾아서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있다.인간생활의 편의성, 안락성, 그리고 효율성에 대한 욕구가 높아짐에 따라 감성 측정
분야
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될 것이다. 특히 후각과 미각의 개발사업은 산업측면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사업이다.이를 위해 인체의 후각과 미각에 대한 생체신호의 표준화는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 ...
4. 프로젝트 랩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설정한 목표를 이루는 일이야말로 산교육이라고 본다.프로젝트 랩은 우선 희망
분야
가 같은 학생들이 2-3인씩 조를 짜면서 시작된다. 그 다음으로 동료와 의논해 연구하고 싶은 과제를 정한다. 과제는 독창적인 것도 좋고 미리 대학원 연구실에서 마련한 과제 목록에서 선택해도 된다. 과제가 ... ...
이전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