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임상실험 결과가 쌓여야 한다.우리나라 인공장기의 선두주자는 인공심장이다. 서울대 의
공학
과 민병구박사팀은 88년초 우리 체형에 맞는 전기구동식 인공심장을 개발했다. 이를 생후 4개월 된 송아지에 이식수술한 결과 나흘간 양호한 상태를 보이며 생존했다. 미국의 특허를 획득한 이 한국형 ... ...
part I 컴퓨터가 바꿔놓은 출판문화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1장에 약 8억자(2백자 원고지 4백만장)를 기록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과학기술원 시스템
공학
센터가 광디스크를 이용한 ‘전자파일링시스팀’을 개발했지만 실용화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디스크책에서 더 나아간 출판형태가 화면책이다. 화면책이란 출판사의 대형 하드디스크에 ... ...
걸어다니는 로봇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기계연구소 김기엽연구원은 모터선정과 컨트롤러제작을, 과학기술원 윤용산교수팀(기계
공학
과)은 로봇의 설계와 구조를 각각 맡았다. 지리적으로도 떨어진 여러 연구소가 하나의 연구과제를 위해 협력한 것은 우리나라처럼 고립적인 연구풍토에서 귀중한 선례를 남긴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 ...
배와 조선산업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밝다는 근거로 PART I 에서는 새로운 분야, 즉 첨단선박들을 살펴보고 PART II 에서는 조선
공학
도가 보는 한국조선산업의 장래에 대해, 그리고 PART III에서는 역사상에 나타났던 대형선박들을 소개한다 ... ...
PART2 한국조선산업의 미래는?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노동자들이 중장비를 앞세우고 데모를 하는 장면이 TV화면에 비칠 때면 주위로부터 조선
공학
을 계속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는 소리를 듣기도 한다.'정말 한국의 조선산업은 절대절명의 위기에 처해 있나보다'이말은 언뜻 그러듯해 보인다. 분명 20여년동안 지속돼온 국내 조선산업은 일대 구조적인 ... ...
유전자 조작기술을 활용한 유전병 치료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광범위한 출원을 제출하였다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대적인 조류는 거대한 생물
공학
회사를 위해 특허법을 제정하는 것과 같은 조금은 걱정스러운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단백질을 대체결함이 있는 단백질을 대체시키는 것 역시 새로운 치료의 형태는 아니다. 예를들면 혈우병 환자는 그들에게 ... ...
탄력성있는 시멘트 개발에 열중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사용하느냐와 동의어가 될 정도다. 따라서 강한 시멘트의 개발은 오래 전부터 건축재료
공학
의 핵심으로 인식되고 있다.시멘트는 물과 섞어 사용한다. 즉 수화(水化)과정을 거쳐 딱딱하게 고형화되는 것이다. 그런데 시멘트의 강도는 수화작용 후 시멘트 내부에 생긴 기포의 크기 분포 양 등에 ... ...
PART3 역사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배가 크다고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거대한 위용으로 한 시대를 풍미하고 후대에까지 전해 내려오는 유명한 배들이 있다.동서고금 역사상 각 시대에 등장했던 배의 종류는 다양하기 이를 데 없다. 인간의 지혜가 발달하지 못했던 원시시대에는 뗏목배(筏船) 가죽배(皮船) 통나무배(獨木舟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실습시간에 빠지면 시험을 치르지 못한다. 특히 실습이 큰 비중을 차지, 기계
공학
과의 경우 총 수업시간의 45%를 점한다.학기말시험은 필기나 구두(口頭) 그리고 실연(實演)으로 치른다. 또 졸업프로젝트나 논문은 교수의 지도하에서 작성된다. 이 과정을 마치면 최종적으로 전문가들이 배석한 가운데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과정)과 외래연구원 3백명을 확보할 예정이다.이밖에 해양연구소 유전
공학
센터 시스템
공학
센터 과학기술정책연구평가센터는 당분간 부설연구소로 운영하되 여건이 성숙되면 분리 독립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이에 대해 노조위원장 이인우씨는 "학사부와 분리, 본연의 KIST로 되돌아와 '조직이 중심이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