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적외선 영역뿐 아니라 기존의 허블이 보던 가시광선, 적외선까지 모두 관측할 수 있도록
개발
될 예정이다. ATLAST가 허블의 진정한 후계자가 될 것이라는 추측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는 이유다. 글 이영혜 기자 yhlee@donga.com 우주의 빛을 낚는 고해상도 카메라허블우주망원경은 발사된 이래 5번의 ... ...
모든 범인은 ‘세균’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신경 써야 할 것 같다. 물건에 남은 세균 흔적으로 범인을 식별하는 기술이 처음
개발
됐기 때문이다.최근 미국 콜로라도대 진화생물학과 노아 피어러 교수는 컴퓨터 키보드에 묻은 세균을 채취해 컴퓨터 소유주의 손에 사는 세균과 DNA를 비교한 결과 거의 일치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실험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물리나 화학 같은 기초 과학 수준과 관계가 깊다. “지금까지는 없던 원천 핵심기술을
개발
하려면 학문의 뿌리까지 거슬러 올라가 거기서부터 가지를 쳐 나가야 합니다. 응용 기술만 알아서는 본질이 같은 자연 현상도 모두 다르게 보이죠.” 실제로 김 교수는 자기소용돌이 구조로 V램을 구상할 때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재료로도 각광받고 있다.최근 연구실에서는 블록공중합체로 만든 고분자를 박막형태로
개발
했다. 이 고분자막은 연료전지 재료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나피온’보다 성능이 뛰어나면서 가격은 훨씬 저렴하다. 나피온은 80°C 이상의 고온에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연료를 투과시키는 현상이 나타나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기업이죠. 지속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의 비중이 높아질 겁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
하려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런 측면에서 구조복잡도 연구와 연관성이 큽니다.” 고수의 비법전수 창의적인 발상은 열린 마음에서 증폭된다. 다양한 분야의 책을 많이 읽고 자신만의 ... ...
1982년 토머스 체크 교수의 RNA 효소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RNA 세계 가설로 이어져DNA염기서열을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
해 1980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월터 길버트 박사는 1986년 생명의 기원을 설명하며 ‘RNA 세계(world)’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다. 즉 자신의 염기서열을 스스로 복제하는 RNA 분자가 최초의 생명체였다는 가설이다. 체크 ... ...
인공지능학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환경 예측 시스템을 비롯해 다양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
하고, DNA칩의 지능을 설계하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를 수행하기도 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자동차, 기계, 금융, 조선 등 모든 것이 거대해지고 자동화되면서 관리할 자료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 ... ...
One More Step to AIDS Cure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아직 한참 멀었다”라고 말한다.그것은 사실일지 모른다.그러나 독자적으로 HIV 백신
개발
을 시도 중인 데이비드 호 박사는 바이러스의 조각을 사용해 인체의 면역체계를 깨우고 활성화시켜 항체를 생성하도록 만드는 기존의 방식이 HIV에 대항하는 최선의 방식이 아닐 것으로 믿는다. 인체가 우선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배출하는 어망을
개발
했다. 또 해파리를 채집해 그 자리에서 분쇄하는 제거 망을
개발
하기도 했다. 앞으로 한국의 바다를 찾아올‘거대한 손님’은 누굴까. 지구의 기후가 변하면서 심해에 살던 거대동물들이 갈 길을 잃고 찾아온다지만, 사람들이 이들을‘괴물’로 취급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도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는 또 “구글지도와 위치기반서비스(LBS)를 결합해 관측지 정보를 공유하는 서비스를
개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이 같은 과학의 협업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설을 실험하고 검증하는 과학자들이 점점 늘고 있다. 단지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과학적 지식 자체의 정확도를 ... ...
이전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