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d라이브러리
"
개발
"(으)로 총 11,87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곳곳 숫자 4의 활약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알렉세이 파지노프는 4개의 정사각형을 이어붙인 블록을 쌓아가는 테트리스를
개발
했어. 정사각형 4개로 총 7종류의 블록모양을 만든 거지. 이름도 그리스어로 4를 뜻하는 ‘테트라’에서 따왔어. 만약 정사각형 5개로 게임을 만들었다면 지금처럼 세계적으로 인기있는 게임이 되지 못했을 거야. ... ...
닥터 피노키오! 수학으로 거짓말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닥터 피노키오예요. 이 녹음기는 거짓말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구별해 내는 장치로 제가
개발
했죠. 방금 걸려온 전화는 소방서에 장난 전화를 한 나쁜 친구의 목소리예요. 제가 거짓말 때문에 참 많은 고생을 했다는 건 알고 있죠? 그래서 거짓말 없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거짓말을 알아 낼 수 있는 ... ...
포장지 안 뜯고도 선물 미리 본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6만 5000개가 넘는 다양한 정보를 모았지요. 여기에서 ‘전달 행렬’이라는 수학 모델을
개발
했습니다. 이를 이용해 산화아연 층을 빠져나온 빛을 측정해 그 뒤에 있는 물체의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앞으로 불투명한 물질도 투명한 렌즈와 비슷하게 다룰 수 있을 것으로 ... ...
무질서 구조로 빛을 저장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문제를 단숨에 풀어 내는 양자컴퓨터.아직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양자컴퓨터
개발
에 날개를 달아 줄 연구가 나왔습니다.덴마크의 과학자들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물질보다 질서 없이 무작위로 배열된 물질이 빛을 저장하는 데 더 효율적이란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양자컴퓨터는 빛을 쏘아서 ... ...
공기 오염을 막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못했으니…. 나잘난 박사는 이 학교의 공기오염 문제를 해결할 최첨단 공기정화장치를
개발
해 학교를 찾았다. 3000명 학생의 목숨이 나잘난 박사의 발명품에 달려 있는 급박한 상황! 과연 나 박사의 발명품이 학생들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지 확인해 보자.교장선생님 : 나잘난 박사님! 정말 수고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원주율(π)값을 몰라도 인체의 비례를 이용해 원의 넓이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
된 것이다.얼굴에 새겨진 황금비아름다움의 기준은 시대마다 달라진다. 보름달처럼 푸짐한 얼굴을 아름답다고 여긴 적이 있는 반면, 요즘처럼 이목구비가 뚜렷하고 갸름한 얼굴을 미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등은 쉴 새 없이 변하기 때문에 기상학자들은 기상변화를 예측하는 수치예보 모델을
개발
했어요. 시간에 따라 기상변수가 어떻게 변할지 계산하는 수학방정식을 모아 만들지요. 이 모델을 컴퓨터에 입력한 다음, 정리된 관측 자료를 넣습니다. 계산량이 엄청나므로 슈퍼컴퓨터가 필수예요. 마침내 ... ...
표면장력 스파이더맨 납시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원리이다.스틴 교수 연구팀은 이런 잎벌레를 모방해 새로운 접착장치(사진 속 원 안)를
개발
했다. 이 장치는 한쪽 면에 수많은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 판이 있다. 이 면 아래로는 구멍으로 물을 뿜어내는 전자장치와 물이 들어 있는 부분이 있다. 전자장치는 ‘전자삼투유동(electro-osmotic flow)’이라는 ... ...
국산 기술로 시속 300km 달린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제작해 에너지 효율성과 객차 성능을 높였다. KTX-II는 현대로템이 9년에 걸쳐 독자
개발
한 모델로, 전체 부품의 87%가 국산화됐다.기존 KTX는 프랑스에서 도입한 고속철 기술을 사용했었다. KTX-II는 외형만 봐도 KTX와는 확실히 다르다. 장거리 승객의 불만이던 역방향 좌석은 전부 회전식으로 바꿨다. ... ...
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 수급 빨간 불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세계 의료용 동위원소 수요의 64%를 공급하고 있다. 더 우려되는 것은 새로운 원자로가
개발
되지 않는 한 앞으로도 부족 현상은 지속될 것이란 점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앞으로 최소 6년간 부족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하지만 이런 상황에 대한 대책은 아직까지 뚜렷하게 나온 것이 ... ...
이전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