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걸어 다니는 신분증, 얼굴
과학동아
l
200701
모이는 공공장소에서 범법자를 검색하는데도 이 기술이 사용된다. 지난 2001년 1월
미국
플로리다주 경찰은 슈퍼볼 결승전이 열린 경기장에 카메라를 설치해 지명수배자 19명을 가려냈다. 얼굴인식시스템이 카메라에 잡힌 얼굴을 내장된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해 범법자의 얼굴을 가려낸 것이다.현재 ... ...
4. 나는 꽃미남이 좋아요
과학동아
l
200701
들어오는 얼굴 즉 오른쪽 얼굴이 판단의 근거로 활용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또
미국
네바다대 심리학과 마이클 웹스터 교수는 2004년 남성의 얼굴을 많이 보다가 여성의 얼굴을 보게 되면 그 얼굴이 더욱 여성적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일종의 잔여효과(aftereffect)가 생긴다는 말이다. ... ...
떴다! 웹 2.0
과학동아
l
200701
크다고 보는 것이다.구글에서 ‘참담한 실패’(miserable failure)라는 검색어를 집어넣으면
미국
의 백악관 홈페이지로 연결되고 ‘학살자’라는 검색어를 집어넣으면 전두환 전 대통령 소개 페이지로 연결되는, 이른바 ‘구글 폭탄’도 그래서 가능하다. 구글은 불특정 다수 사용자들의 집단지성을 ... ...
"과학은 꼿꼿하고 떳떳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701
가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P r o f i l e1934 서울 출생 / 1957 서울공대 전기공학과 졸업 / 1969
미국
텍사스 A&M대 박사 / 1969 공군사관학교 교수 / 1982 국방과학연구소 소장 / 1984 한국전기통신공사 부사장 / 1990 과학기술처 차관 / 199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 1998 SK텔레콤 부회장 / 1 ...
펨토초 레이저에서 탄생한 X선
과학동아
l
200701
자르거나 구멍을 뚫는 수술도 가능하다.아토초로 질주하는 ‘남의 법칙’나올까1999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아흐메드 즈웨일 교수는 펨토초 레이저로 분자의 화학 반응에서 일어나는 초고속 현상을 밝힌 공로로 노벨상을 받았다. 펨토초의 짧은 빛을 이용해 화학반응의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을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01
수 있다.노벨상을 안겨준 X선 기술CT촬영기술은 1972년 영국 EMI의 곳프리 하운스필드와
미국
터프츠대 앨런 코맥이 개발했다. 컴퓨터를 이용한 단층 X선 촬영기술 개발로 1979년 노벨생리의학상의 주인공이 됐다. 현재는 1mm 이하의 머리카락도 그려낼 수 있는 다중컴퓨터단층촬영(MDCT), ... ...
우리는 의식하고 있다는 걸 의식한다
과학동아
l
200701
제럴드 에덜먼의학박사이며 신경과학연구소와 신경과학연구재단을 이끌고 있다. 현재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생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72년 항체의 분자구조가 Y자 모양이라는 사실을 발견해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그의 연구를 토대로 몸속에 항원이 침입했을 때 항체가 어떻게 ... ...
6세부터 106세까지 꿈의 장난감
과학동아
l
200701
003년, 로켄복은
미국
ABC 뉴스에서 꿈의 장난감으로 소개됐다. 치열한 장난감 시장을 뚫고 꿈의 장난감이란 이름을 얻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로켄복 토이 컴퍼니는 ‘6세부터 106세까지 즐기는 전설적인 완구시스템’이라는 목표 아래 회사를 설립하고 로켄복을 출시했다. 조립블록이면서 무선 ... ...
침이 고통을 덜어준다
과학동아
l
200701
6배나 강한 효과를 내는 천연 통증완화 물질을 발견해 오피오르핀으로 명명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1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쥐에게 통증을 일으키는 포르말린을 주입한 뒤 침에서 추출한 오피오르핀과 마약성 진통제인 모르핀을 각각 주사했다. 체중 1kg당 1mg의 오피오르핀을 ... ...
[천문우주]태양계 밖 외계행성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0701
행성과 항성의 밝기 차이가 1000분의 1 정도로 줄어들어 관측이 가능해진다.연구팀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스피처 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웁실론 안드로메다 b를 관측한 결과 4.6일 주기로 적외선의 밝기가 행성의 위치에 따라 변했다. 별빛을 받는 뜨거운 면이 지구를 향할 때는 밝게 빛나지만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