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전자들 때문 에 화려한 오로라가 발생한다. 만일 사람이 발을 디딘다면 그만큼 위험한
곳
이 이오다.이오 다음에 있는 유로파의 표면에는 얼음들이 쩍쩍 갈 라진 모양(lineae)이 보인다. 이는 표면 아래의 따뜻한 얼 음이 틈새로 흘러나와 생겼다. 태양계 생성 이후 수많은 운석이 충돌했음에도 유로파의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위로 솟아오르게 했다는 뜻이다. 일부 역술가들은 마이산이 한반도에서 기가 아주 센
곳
이고, 그 기(氣)가 중력을 이기게 했다고 풀어내기도 한다.물이 용암처럼 흘러 얼음 기둥 형성미스터리 마니아들은 아쉽겠지만 마이산 역고드름은 과학으로 설명하기 힘든 불가사의한 현상은 아니다. 또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자연 서식처를 잃은 멸종 위기 동물들이 다시 야생으로 돌아갈 때까지 보호받는 중요한
곳
이야. 서울동물원에는 한국호랑이 24마리를 보호하고 있는데, 모두 호랑이 몸에 마이크로 칩을 심어서 크기와 특징 등을 기록하고 있어. 이 한국호랑이들은 독일의 국제혈통족보에 올라 순수 혈통을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되기 1단계 전시물 이해하기우리가 찾아간
곳
은 우석헌자연사박물관. 이
곳
은 설명이 빼곡하게 적힌 판이 많지 않은 것이 특징이야. 힘들게 읽는 것보다 도슨트의 재미있는 설명을 듣는 것이 전시를 이해하는 데에 더 효과적이라는 생각 때문이래. 도슨트의 역할이 정말 중요하겠지? 건물 안으로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견뎌내는 일이 쉽지는 않죠. 하지만 ‘대기만성’형 학문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이
곳
에서 연구하면서 세계적인 무대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목소리를 내는 리더로서 꿈을 키울 수 있습니다.”고수의 비법전수공학자에게 수학과 물리는 기본이다. 어릴 때부터 수학과 물리를 체계적으로 학습해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지긋하신 교수님부터 빨갛게 상기된 젊은 대학생까지 모두 자리에 앉거나 혹은 앉을
곳
이 없어서 뒤쪽에 선 채로 기대에 가득한 얼굴을 하고 있었습니다. 무엇을 기다리고 있던 것일까요? 얼마 뒤 후드티를 입은 평범한 남자가 단상 위에 올랐고 사회자의 소개가 이어졌습니다.“여러분, 이번에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하겠습니다.오늘 유물 감정단이 찾은
곳
은 기상청입니다. 기상청엔 웬일이냐고요? 이
곳
에 비가 오는 양을 쟀던 기구인 측우기가 있기 때문이지요. 세종실록1442년 5월 8일 기록에서 처음 ‘측우기’란 단어를 찾아볼 수 있는데, ‘철로 만든 그릇에 빗물을 받아 그 양을 잴 수 있는 장치’로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역할을, 헬기에서 뿌리는 소화액은 억제제 역할을 한다. 산불이 진화되고 난 뒤 높은
곳
에서 내려다보면 산은 전체가 검게 그을린 것이 아니라, 띠 모양이나 점 모양으로 얼룩덜룩하게 그을려 있다. 동물의 무늬도 이와 같은 원리로 발생한다.반응-확산 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이런 무늬의 모양을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정도가 파악됐다. 적도 부근의 열을 고위도로 밀어 올리는 편서풍파동(행성파)이 작은
곳
에서는 야광운이 사라진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미국 햄프턴대 제임스 러셀 박사는 “야광운이 먼지 입자와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올라가 차가운 대기 중간층과 만나 얼음이 되면서 형성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 ...
문어도 도구를 사용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물려받는 습성인지 아직까지 알아내지 못했다. 핀 박사는 “천적의 눈에 띄기 쉬운
곳
에서 살아오면서 습득한 자연선택의 결과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지난 12월 14일 발행된 생물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실렸다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