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이동하고 분화됐는지다. 연구자들은 염색체 위에 있는 단일염기다형성(SNP)자리를 5만 곳 이상 비교해 각 집단의 유전적 특징을 파악했다.SNP란 개인마다 염기서열이 다른 부분이다. SNP의 차이가 많을수록 두 집단은 유전적으로 서로 거리가 멀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SNP 분석을 통한 각 집단 사이의 ... ...
- 발명왕 ‘떡잎’부터 알아보고 키우는 창의발명캠프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츠쿠바 우주센터를 방문했는데, 이곳에서 우주비행사 모의 훈련을 체험했다. 폐쇄된 곳에서 적응하는 훈련, 우주선 바깥과 비슷한 환경에서의 훈련, 긴급한 상황에 대처하는 훈련 등을 했다.한국발명진흥회는 “국내 프로그램에서 곧바로 이어지는 해외 탐방 프로그램은 외국의 선진 기술을 보고 ...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과학동아 l2010년 01호
- 2009년 8월 8일 늦은 오후 필자와 동료 한 명은 킴벌리 서쪽 관문 더비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시작하는 ‘깁강(Gib river)’ 도로는 이 지역을 횡단하 ... 인간사회의 대륙 간 불균형에 대한 이론들을 검증하는 결정적인 판단 기준이 된다. 이곳의 환경은 가장 특이했고 인간 사회도 가장 특이했다 ... ...
- 조립식 천체망원경 HT-40400 DIY 망원경으로 겨울밤을 만끽하자!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전등으로 상상할 수 없는 1만cd(칸델라, 빛의 양을 표시하는 단위)의 밝기로 50m 떨어진 곳도 환하게 비춘다. 여기에 물속 20m까지 들어가도 끄떡없는 방수 기능까지 갖췄다 ...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지구 궤도에서 착륙선과 도킹돼 달로 발사될 것이다.새로운 로켓은 우주인을 흥미진진한 곳으로 데려다줄 수 있다. 다른 천체를 방문할 경우 착륙할 때와 다시 발사할 때 가장 큰 비용이 들며 큰 위험요소가 발생한다. 그런데 만약 착륙할 필요가 없다면? 이 새로운 발상이 실현되면 우주인은 행성에 ... ...
- 늦더위와 방학 숙제를 한 번에! 과학실험 BIG. 3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막았기 때문에 계속 숨을 불어 넣으면 페트병 안은 공기로 가득 차게 되고, 끝내는 갈 곳이 없어진 공기들이 페트병 안에 담긴 물을 아래로 밀기 시작한다. 그러면 한쪽 끝이 물에 잠겨 있는 빨대 안으로 물이 밀려 올라오게 되고, 결국 빨대 밖으로 물이 뿜어져 나온다.아하! 물총 멀리 쏘는 법빨대 ... ...
- 바이아블랑카에서 다윈의 향기를느끼다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군인들은 *인디오를 무자비하게 토벌했고, 인디오의 습격을 막기 위해 요새를 지었다. 이 곳을 방문했던 다윈은 이 요새 안에서 숙식을 해결했다고 한다. 조사를 위해 야외를 마음껏 돌아다녀야 하는 다윈에게는 아마 이 요새가 감옥과 같았을 것이다.시내에 있는 역사박물관에서 자료를 얻어, ... ...
- 특종! 맹꽁이 생태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잘 보존하는 것이 가장 먼저일 거야. 그리고 맹꽁이가 도시에서 발견되면 안전한 곳으로 옮겨 주는 것도 필요해. ‘맹-맹-꽁-꽁’. 이 울음소리가 끊기지 않도록 말이야. 얼마 전 산곡초등학교 학생들이 미사리 조정경기장 근처의 당정섬에 모여 근처에서 발견된 맹꽁이의 수를 조사했어요. 자전거 ... ...
- 여기는 해상교통관제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어떤 배이며 어디로 가는지를 알 수 있게 만든 통합 관제 시스템이다. 여기에 항구 주변 2곳에 설치한 VHF 무선교신 중계소의 도움으로 배와 통신도 할 수 있다. 이 시스템 덕분에 위험한 상황에 빠진 배가 생겼을 때 누구보다 빨리 도와 줄 수 있다. 배에는 브레이크가 없어요. 그래서 정지하는 ...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6호
- 인해 바닷물의 흐름이 변하는 것에 특히 주목하고 있어. 해류에는 밀도가 높아 바다 깊은 곳으로 흐르는 심층해류와, 밀도가 낮아 얕은 바다를 흐르는 표층해류가 있어. 이들 해류가 적도에서 극지방까지 돌면서 열을 운반하는 역할을 해서 지구의 열평형을 맞추고 있지. 그런데 기온이 오르면서 ... ...
이전5545555565575585595605615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