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폰 vs 옴니아2 당신의 선택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뜨지요. 화려한 스펙보다 중요한 것은 실제 느끼는 경험이 아닐까 하는데…. 그리고 한
가지
더!굳이 지상파 DMB를 보지 않아도 아이폰으로 재미있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 역시 있지요. 관리프로그램인 아이튠즈를 통해 전 세계에서 쏟아져 나오는 음악, 영화 등을 손쉽게 내려받아볼 수 ... ...
21세기, 철도가 부활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다양화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사실상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국철과 지하철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철도만 고집해왔다. 그러나 철도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여건에 맞는 다양한 철도형태를 도입해야 한다. 오는 7월 개통될 경기 용인경전철 ‘용인 에버라인’은 운전석이 없는 객차 한 량이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이 교수도 “장을 연구함으로써 인체, 좋은 균, 나쁜 균 이 세
가지
를 둘러싼 독특한 세계를 파악해보고 싶다”며 앞으로 장내세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할 것임을 밝혔다. “기초과학에 반해 동고동락하다 보니 토종 교수 배출했죠” -이원재 단장 생체공생시스템 연구단의 ... ...
신기한 고분자 화합물의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빠르므로 친환경적이다.그렇다면 고흡수성 고분자는 왜 물을 흡수할까? 그 이유는 세
가지
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분자 내부에 물과 친한 카르복시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카르복시기는 물과 수소 결합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물과 강한 친화력을 갖고 있어 고흡수성 고분자 내부로 물 분자를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등 덩치가 커다란 포유류를 기르기 시작했어요. 이 과정을 ‘가축화’라고 불러요. 마찬
가지
로 1만3000년 전부터는 호밀을 기르기 시작하면서 옥수수(1만 년 전), 땅콩(8500년 전), 쌀(8000년 전) 등을 농작물로 키우기 시작했지요. 이렇게 동식물을 가축과 농작물로 만든 덕분에 인류의 삶은 사냥을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기문의 수가 적고 더 높은 곳에서 출발해 속도를 높였다. 알파인 스키를 이렇게 네
가지
경기로 나눈 것은 다양한 속도와 회전 실력을 겨루기 위해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썰매 삼총사와 스키 패밀리썰매 삼총사의 달리기 뼈대있는 스키 가족 멋쟁이 스키 친척 스키, 하늘을 날다 ... ...
Part 5. 종이접기의 재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사실이 증명됐다. 하지만 종이접기를 이용하면 이 3대 작도 불가능 문제 중에서 2
가지
를 해결할 수 있다. 안 되는 것을 되게 하는 종이접기의 능력을 살펴보자.임의의 각을 3등분하라3대 작도 불가능 문제 중 첫 번째는 ‘임의의 각을 3등분하는 문제’다. 직각을 비롯한 일부 각은 작도로 3등분하는 게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다양성을 위해서다.인공 복원 VS 자연 복원연구자들은 호랑이를 복원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 첫 번째는 인공적인 복원 방법으로, 동물원에서 번식한 호랑이를 일정한 터전에 방사하는 방법이다. 두 번째는 러시아 극동 지역처럼 이미 호랑이가 살고 있는 서식처를 적극보호해서 ... ...
Part 3. 멋쟁이 스키 친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때문에 두 발이 교차하는 과정에서 시간적 손실이 있거든.스노보드의 속도는 스키와 마찬
가지
로 보드의 길이가 길수록 빨라. 보드의 가운데 폭이 좁을수록 회전이 쉬운 것도 같지. 보통 스노보드는 스키보다 폭이 두 배 넘게 넓고 길이는 20~25cm 짧아. 하지만 평행대회전용은 이것보다 더 길고 가운데 ... ...
신체지수 속의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불편함을 없애고 편안함의 기준을 세우는 일에 수학이 앞장섰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를
가지
고 주변 곳곳을 살펴보세요. 여기저기 숨겨진 수학의 수고를 안다면 수학이 고마울 거예요 ... ...
이전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