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지
분파
분맥
너울가지
너울
곁가지
어린 가지
d라이브러리
"
가지
"(으)로 총 12,166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이 느끼는 편안함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집단에 속한 사람 가운데 80%가 만족하는 환경을 뜻한다. 환경에는 온도, 습도, 바람의 세
가지
가 포함된다.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의 영향이 커지고 온도가 낮을수록 바람의 영향이 커진다. 여름에는 습도가 높을수록 불쾌지수가 높지만 겨울에는 습도의 영향이 크지 않다. 반면 겨울에는 바람이 세게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초등학교 과정에서 딱 한 번만 나오는 아주 귀한 통조림이 나왔어요. 바로 ‘경우의 수’예요. 도대체 무슨 맛일까 궁금하죠? 어떤 학생들은 맛이 이상하다 ... 주사위는 6
가지
가 나올 수 있다. 따라서 두 사건을 잇달아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 순서쌍을 만들면 12
가지
고, 그 경우의 수는 12다 ... ...
하루를 25시간으로 사는 법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멈췄다는 단순한 가정을 통해 명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현실은 여러
가지
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돼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시간이 멈춘 상태에서의 결과만으로는 모든 것을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렇기에 시간이 움직인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여러 경제현상을 분석하고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쥐의 털과 일치했다. 튜링의 방정식이 최초로 실험을 통해 증명된 것이다.연구팀은 두
가지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확산제와 억제제의 반응-확산 방정식을 컴퓨터 시뮬레이션해서 확산제의 양을 늘리면 점무늬가 촘촘히 생기고, 억제제의 양을 늘리면 점무늬가 드문드문 발생한다는 사실을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잘 달리는 듯하더니 곧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처음에는 원인을 알지 못해 고민했다. 갖
가지
노력을 기울였다. 발동작을 조금 빨리 해봤다가 무게중심이 엇갈려 로봇이 뒤로 뛰어오르며 나동그라진 적도 있었다.이 연구과정을 조 박사는 “신물 나도록 지겨웠다”고 표현했다. 그는 “한 번 넘어지면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조언을 구했다. 그리고 여러 차례 실험을 거치면서 역고드름을 생성하는 마법의 조건 3
가지
를 발견했다.그중 하나가 얼음을 만들 때는 수돗물이 아니라 증류수를 써야 한다는 점이다. 실제 증류수로 만들 경우 누구나 냉동실에서 역고드름을 만들 수 있다. 왜 수돗물은 안 되고 증류수는 되는 것일까.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영재학교·과학고를 준비하는 학생들은 공통적으로 이 두
가지
전형에 집중적으로 대비해야 한다. 세부적인 평가항목을 살펴보면서 그에 따른 학습방법을 준비해 보자. 독창성, 구체성 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란 일종의 수학·과학 ... ...
한민족 조상, 동남아에서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제시했다. 그만큼 동아시아 사람들이 최근에 분화됐다는 의미다.한·중·일은 형제나 마찬
가지
이번 논문에 참여한 국립보건원 김형래 원장은 “각 민족의 염색체를 비교한 결과 인류가 중국에서 한반도, 다시 일본으로 이동한 경로가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즉 현생 인류가 중국을 거쳐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지 5분도 안 돼 입술이 바짝 마른다. 더위보다 더 큰 적은 파리 떼다. 손사래를 쳐도 날아
가지
않고 머리와 눈, 귀에 인정사정없이 달라붙는다. 푹푹 빠지는 모래 때문에 걸음을 옮기기도 힘들다.정오 무렵에는 사흘 전 빠진 모래 구덩이에 도착했다. 이제 30~40km만 더 가면 마을이 있다는 희망에 마지막 ... ...
CSI 수사체험 ‘지문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고양이도 지문이 있을까?골목길을 걷다 보면 ‘바닥 시멘트 주의’라는 글씨와 함께 들어
가지
못하도록 끈으로 일종의 작은 바리케이트를 쳐놓은 것을 볼 기회가 가끔 있다. 아마도 시멘트로 골목길 바닥을 보수한 모양이다. 그런데 재밌는 것은 꼭 누군가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를 밟고 지나간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