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형"(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없었어요. 얼굴은 정면을 보는데 몸은 옆으로 틀어져 있었고, 아예 얼굴과 몸통 전체가 도형처럼 생긴 사람도 있었죠. 신선하고 강렬하다는 사람도 있었지만, 어린이가 끄적인 낙서에 불과하다는 반응이 더 많았어요.그림의 이름은 , 화가의 이름은 파블로 피카소에요. ...
- [재미] 춤추는 무게 중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사각형의 무게 중심을 구하는 방법을 반복하면 된다. 점마다 무게가 고르지 않은 도형의 무게 중심은 지렛대의 원리를 써 구한다. 예를 들어 보자. 무게가 3kg인 물체 1, 무게가 6kg인 물체 2가 직선 막대 양 끝에 매달려 있다. 이 막대의 무게 중심은 3×x=6×y를 만족하는 점이다. x, y는 각각 물체 1 또는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했다. 지오데식돔은 다면체의 면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모양을 구에 가깝게 만든 입체 도형이다.지오데식돔으로 만든 보호막은 튼튼하다. 어떤 방향에서 힘을 받아도, 빈틈없이 메워진 삼각형이 서로를 지탱하며 무게를 나눠 갖는다. 기둥 없이도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작은 겉넓이로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것과 비슷하다. 이때 우주는 추상적인 공간이고, 별은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도형이라고 할 수 있다.니렌버그 교수도 비선형 편미분방정식의 해를 구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하학적 성질을 밝혔다. 바실리스 기다스 미국 브라운대 교수, 웨이 밍 니 미국 미네소타대 교수와 함께 비선형 ... ...
- 컴컴한 눈 대신 마음으로 연구 시각장애 뛰어넘은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다음, 레고로 조립하게 한 것이다. 그 결과 시각장애인은 일반인과 비슷한 시간 내에 도형을 완성했다. 두 번째 실험에서 연구팀은 방이 23개나 있는 복잡한 구조의 2층짜리 가상 건물을 이용했다. 마우스 커서를 움직여 실제처럼 문을 여닫거나 이동해 특정 물건을 찾는 것이다. 시각장애인 ...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뭔지 아는 사람?”“모든 면이 합동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모서리 수가 같은 입체 도형이요!”“맞아요. 그럼 정다면체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고 튼튼한 것은 어떤 걸까?”조원용 건축사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모형을 들고 왔다. 독자기자들에게 이 다섯 가지 ... ...
- [참여] 게임카페 두 번째 시간 세상에서 하나뿐인 나만의 게임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게임 중에도 이처럼 한붓그리기를 응용한 것이 있다고 소개했다. 모양과 색깔이 같은 도형을 한 번에 이어 터뜨리는 게임이다.독자들은 오 교수가 준비한 간단한 게임을 직접 해 보고, 이를 응용해 새로운 게임을 직접 만들어 보았다. 기자가 참관한 조에서는 쥐가 치즈를 찾는 게임을 응용하기로 ... ...
- [Photo] 불가능한 사진술 현실을 넘어서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붕부터 관찰하면 집 외부가 보인다. 초현실 공간을 고민하는 건축가인 듯, 불가능한 도형으로 유명한 ‘펜로즈의 삼각형’을 비롯해 다양한 설계도가 주변에 널려 있다. 요한슨이 이 작품을 만들 때 직접 그린 것으로 보이는 스케치도 오른쪽 벽에 붙어 있다.Drifting Away오즈의 마법사 속 도로시처럼 ... ...
- [참여] 2월 7일 18시 28분에 오일러를 만난 까닭은? 고등과학원 e day e time을 가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들어 오일러 특성수가 2로 같은 구와 정다면체는 위상동형이다.아무리 복잡하게 생긴 도형이라도 꼭짓점, 모서리, 면의 개수만 셀 줄 알면 어떤 위상동형을 갖는지 알 수 있다. 김 교수는 오일러 특성수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즉석에서 청중에게 문제를 내기도 했다. 처음엔 답을 말하는 목소리가 ... ...
- 새 학기 맞이 수학 체질을 바꿔드립니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훈련을 해야 할까?예를 들어 수학 시간에 ‘도형의 합동’에 대해 배우고 있다. 이때 두 도형이 서로 합동이려면 대응하는 변의 길이와 각의 크기가 서로 같아야 한다는 두 성질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구체적으로 삼각형의 합동조건은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아! 수업시간이 끝나고 삼각형의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