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식
도표
그림꼴
그림
설계도
그림표
그래프
d라이브러리
"
도형
"(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참여] 수학동아 게임카페 수학적 사고는 게임의 기초!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그게 없으면 게임이 문제집 푸는 일과 다를 바 없겠죠.”참가자들은 빈틈없이 평면을
도형
으로 채우는 게임, 사칙연산을 이용한 퍼즐 게임 등 서로 머리를 맞대고 수학 규칙을 활용해 게임을 만들었다. 만든 결과물은 조별로 발표했다. 오 교수는 “여럿이서 하나의 게임을 만들 땐 서로 의견을 ... ...
[수학뉴스] 해안 지형도, 수학이 그려줍니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지표면의 높이를 일정한 규칙으로 재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연구팀은 지구타원체라는
도형
을 도입했습니다. 지구타원체는 지구의 모양을 그대로 함수식으로 나타낸 겁니다. 지구가 도는 것까지 적용돼 있지요.연구팀이 개발한 수학 모델은 지구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측정한 지표면의 높이와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몇 문제 정도 들여다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산가쿠에 등장하는 문제는 주로 원에 접하는
도형
에 관한 문제다. 이런 문제는 유클리드 기하학을 기본으로 하는 서양의 기하학에서는 매우 낯선 것이다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변형을 거쳐 서로 같은 형태로 만들 수 있는 두
도형
을 같은
도형
으로 생각한다. 이런
도형
을 ‘위상동형’이라 한다.오른쪽 사진은 뜨개질로 만든 쌍곡면 치마와 클라인 병이다. 색깔 별 실의 양이나 놓이는 위치를 동일하게 유지한 채로 꿰었던 실을 풀어 모양을 바꾸고 이를 다시 연결해 만들었다. ... ...
[과학뉴스] 혜성 탐사선 ‘로제타’ 2014년 연구 성과 1위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연구 성과로 소개됐다. 각 로봇에는 무선수신기와 센서가 내장돼 있어 다른 로봇과 함께
도형
이나 글자 등을 만들 수 있다.그 밖에 인간의 뇌를 모방한 컴퓨터 칩 등이 올해의 주요 성과로 뽑혔다 ...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연구에서 직접 사용하고 있다. 모리 프로그램은 4차원 이상을 연구하기 위해 도입된
도형
인 다양체에서 최소 모델을 찾는 것이다.현 교수가 젊은과학자상 수상자로 선정된 결정적인 역할을 한 연구도 모리 프로그램과 관련이 있다. 현 교수는 지난 2013년 수학 분야 세계 최고 저널인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대수학을 자유롭게 오갈 수 있게 됐습니다.
도형
문제를 수로 풀고 반대로 숫자 계산을
도형
으로 할 수 있게 된 것이죠.오일러와 5대 ‘영양수’★ 오일러는 π, i, e라는 기호를 만든 수학자입니다. 함수를 뜻하는 f(X)나 합을 뜻하는 기호 Σ(시그마)를 처음 쓴 사람도 오일러입니다.지수★ 어떤 수나 ... ...
[체험] 크리스마스 장식볼 만들기 별모양 다면체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보는 건 어떨까?별모양 다면체는 1811년 프랑스 수학자 오귀스탱 루이 코시가 이름 붙인
도형
으로, 볼록하지 않은 다면체를 일컫는다. 수학에서는 다면체의 어느 면을 연장해도 그 평면이 다면체의 내부를 자르지 않으면 ‘볼록다면체’라고 한다. 만약 어떤 한 면을 연장했을 때 다면체가 잘린다면 ... ...
[생활] 이슬람의 기하학 패턴을 찾아, 말레이시아로!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이슬람 하면 어떤 게 떠오르나요? 중동 국가? 차도르를 쓴 여인? 혹은 무장 세력까지? 이슬람이라고 하면 멀게만 느껴지는 친구들 많을 거예요. 그런데 이슬람 ... 원리를 반영해 인간이 만들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예술 작품이랍니다.구면 기하★ 구면 위의
도형
을 다루는 기하학의 한 분야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같이조금 복잡하게 나타낸다. 내적 함수는 상당히 기묘하게 보일 수 있지만, 사실은 공간
도형
에 주어진 일종의 ‘미분’ 작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차원을 내리는 벡터내적을 기초로 미분의 곱셈 법칙과 벡터의 순서를 바꿀 때, 부호가 바뀌는 원리를 사용하면 어느 정도 식이 이해될 것이다. 이 두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