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혼자 두고 나갈 때마다 심술 부려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외출을 할 때마다 강아지가 집 안을 엉망으로 해놓거나 아무데나 배변을 해놓는 등 심술을 부린다는 고민을 가진 분들이 굉장히 많습니다. 저도 최근 ‘보호소에서 데려온 세 살배기 강아지를 혼자 두고 외출을 하니 평소에는 화장실도 잘 가리던 아이가 현관에 똥을 싸두고, 빨랫감을 다 헤집어 ... ...
- 만화 찢고 꺼낸 수학 만.찢.수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요일마다 보는 웹툰이 한 개쯤 있나요? 그 안에 수학이 숨어있을지 모릅니다. 분야도 게임이론부터 위상수학까지 다양하죠. 랑또의 ‘가담항설’부터 하일권의 ‘마주쳤다’까지 웹툰 찢고 건져온 수학을 여기에 공개합니다! 움직이는 웹툰이 어느새 익숙해졌습니다. 네이버 웹툰의 ‘가담항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텐, 나인, 에잇, 세븐, 식스, 파이브, 포, 쓰리, 투, 원, 제로!” 2월 6일 오후 3시 45분(미국 시간) 미국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케네디우주센터 39A 발사대. 카운트다운이 끝나자 ‘팰컨헤비(Falcon Heavy)’가 엄청난 굉음을 내며 발사대를 박차고 하늘로 솟아올랐다. 관제실에서는 흥분 섞인 함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달콤함에 끌려 입에 넣으면 씁쓸한 맛이 퍼진다. 그래서일까. 초콜릿은 사귈 땐 달콤하지만 헤어지면 쓰디쓴 사랑에 곧잘 비유된다. 사랑 고백에 초콜릿은 필수. 그런데 최근에는 초콜릿에 다른 의미가 담기고 있다. ‘과학 초콜릿’이 등장하면서부터다. 약콩에 대체당 넣은 ‘서울대 초콜릿’ ... ...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암호화폐는 신세계를 열어줄 것인가, 투기로 사회를 혼란에 빠트릴 것인가. 최근 암호화폐를 둘러싼 찬반 논란이 거세다. 양측은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인 측면에서 상반된 주장을 하고 있다. 특히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관계에 대해서는 의견이 첨예하게 갈라진다.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이 ... ...
- [실전! 반려동물] 왜 아무데나 오줌을 싸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안녕하세요~! 반려동물 상담소에 두 번째 사연이 도착했네요. “2년째 ‘냐옹이’를 키우고 있는 집사예요. 고양이는 개와 달리 따로 배변훈련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들었는데, 우리 냐옹이는 집안 곳곳에 실례를 해요. 도대체 냐옹이는 왜 이런 걸까요?” [왜?] 오줌을 못 가리는 고양이도 있다?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나이가 들면 시험 점수보다 더 긴장되는 ‘성적표’를 받게 된다. 바로 건강검진 결과다. 수많은 항목 중 가장 다양한 결과가 표시된 부분은 혈액 검사다. 최근에는 혈액 검사 기술이 진화해 혈액 한 방울로 암부터 치매까지 진단할 뿐만 아니라, 암의 전이나 치료에 적합한 약물까지 알려준다. 단 ... ...
- 정보화 사회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8~19세기 영국은 동력 기관의 발명과 생산 기술의 혁신에 따른 산업화를 통해 농업 위주의 사회에서 공업 중심의 사회로 변했다. 인류는 산업사회로의 진입으로 다양하고 많은 변화를 경험하게 됐다.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경제활동 범위가 확대됐을 뿐만 아니라, 생산 기술의 발달과 자동화로 대량 ...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정육면체의 꼭지점 8개에는 양이온이 있고, 중앙에도 양이온이 하나 있으며, 6개 면은 16족의 할로겐 원소로 채워진 특이한 구조의 화합물, ‘페로브스카이트’다. 차세대 태양전지로 꾸준히 주목 받아온 귀한 물질이다. 그런데 페로브스카이트를 태양전지 대신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에 ... ...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극지 고층대기 관측 우주를 탐색하다 극지는 우주로 열린 창이다. 지구의 자기력선은 남극과 북극에서 우주로 열려있다. 이런 자기력선을 따라 지구 대기로 유입된 우주의 입자들은 지구의 ‘고층대기(upper atmosphere)’와 상호작용하며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킨다. 오로라가 대표적이다. 오로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