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8 태국탐사대] 우리는 느리게 걷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곡물에 잘한다, 곡물이 자란다 한적한 시골길, 느닷없이 초가 두 채와 대나무 다리가 보입니다. 지금까지 단단한 다리만 건넌 사람은 삐걱삐걱 대나무 다리 소리가 무섭게 들릴지도 몰라요. 조심조심, 느리게 걷게 되는 모습이 사뭇 잘 어울리는 이곳은 ‘사완본딘 농장’입니다. 사완본딘은 ‘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전자 형질 분석“설명서를 읽어보고 채취봉으로 시료를 채취해 주세요.”2017년 11월 30일. 기자는 서울 마포구 서강대에 위치한 유전자 체질분석 전문 기업 에스엔피제네틱스를 방문했다. 정현섭 이사는 기자에게 시료 채취봉과 설명서, 유전자검사 동의서가 담긴 상자를 내밀었다. 에스엔피제 ... ...
- [과학뉴스] 완벽한 ‘리틀 풋’ 커밍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역사상 가장 완벽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 화석으로 알려진 ‘리틀 풋(Little Foot)’을 드디어 연구할 수 있게 됐다. 1994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북쪽에 있는 스터크폰테인 동굴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발 뼈 4개가 가장 먼저 발견돼 이런 애칭이 붙었다. 리틀 풋은 약 367만 년 전에 살았던 것 ... ...
-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지진이 났을 때 가장 위험한 곳은?지난 2010년, 미국의 비영리 조사기관인 ‘지오해저드 인터내셔널’은 지진이 났을 때 가장 위험한 도시 20곳을 선정해서 발표했어요. 1위는 네팔의 카트만두였지요. 규모 6.0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100만 명 중 6만 9000명 정도가 목숨을 잃을 거라고 예측됐답니다. ... ...
- Part 5. 별처럼 반짝반짝~ 캔, 인공위성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제 나도 큐브샛이 되어 하늘의 별이 되고 말 거야.그런데 지금까지 본 큐브샛은 나와 생김새가 많이 달라. 과연 음료수 캔인 나도 인공위성이 될 수 있을까? 음료수 캔으로 만드는 인공위성, 캔샛캔으로 만든 큐브샛도 있어요. 음료수 캔(Can)으로 위성(Satellite)을 만들었다고 해서 두 단어를 합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큐브샛은 작지만 여러 대가 뭉치면 다목적 위성만큼 멋진 일을 해낼 수 있구나. 큐브샛 수십 대가 줄맞춰 비행하는 모습을 상상하니 정말 멋져! 그런데 감탄을 하기엔 아직 일러. 박사님께서 말씀해 주셨는데 달이나 화성은 물론, 먼 우주까지 가는 큐브샛도 있대! 달에서 물 찾고 소행성 탐사 나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가 교과서와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재미있게 읽은 기사와 만화가 어떤 교과단원과 관련돼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학교 공부가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최초의 여성 노벨상 수상자이자, 최초로 노벨상을 두 번 수상한 과학자는 누구일까요? 바로 프랑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1996년 7월 5일, 영국에서 ‘돌리’라는 특별한 양이 태어났어요. 돌리는 세계 최초로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된 동물이에요.체세포는 난자나 정자 등 후손에게 전해지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를 말해요. 돌리는 6살 된 암컷 양의 체세포를 복제했기 때문에 이 양 ... ...
- Part 4. 성공의 열쇠는 폐전자제품 회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잠자는 스마트폰을 깨워라!도시광산 산업이 성공하려면 폐전자제품을 수거하는 것이 꼭 필요해요. 하지만 우리나라는 폐전자제품이 집 안에 방치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회수되는 양이 적지요. 특히 우리나라의 휴대전화 회수율은 평균 4.2%로, 전세계 휴대전화 회수율인 16%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제 박사학위 논문 공개를 계기로 전 세계 많은 사람들이 별을 올려다보며 우주에서 우리의 위치를 생각해 보고, 우주를 이해해 보기를 희망합니다.” 호킹 박사는 자신의 논문을 공개하면서 이런 말을 남겼다. 논문 제목이 ‘팽창하는 우주의 성질(Properties of Expanding Universes)’이기 때문에, 내용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