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동
내부
밑바탕
밑
어림
속
하단
d라이브러리
"
아래쪽
"(으)로 총 786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에 잡힌 별의 산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찍은 코끼리코 성운의 모습. 2천4백50광년 떨어진 케페우스 자리에 있다. 성운
아래쪽
에 밝은 붉은색을 띤 물체들이 이제 막 형성되고 있는 별들이다. 가시광선으로는 볼 수 없는 별들도 적외선에서는 모습을 드러낸다. 최근 미항공우주국(NASA)은 천문학자 라이먼 스피처를 기려 지난해 8월 발사한 ... ...
민간 우주여행선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훈련용 전투기의 중고 제트엔진으로 비행하는 화이트 나잇은 15km 상공까지 올라간 후
아래쪽
에 부착된 스페이스쉽원을 분리한다. 스페이스쉽원은 자체에 내장된 하이브리드형 로켓을 이용해 고도 1백km까지 계속 상승한 후 독특한 모양을 취하면서 하강한 후 글라이더처럼 날아 출발한 공항에 다시 ... ...
따돌림의 고통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판 축(軸)을 꽉 끼운 것이다 이 통의 한 끝을 물 속에 넣어 인력으로 통을 회전시키면
아래쪽
의 물이 나사모양을 한 홈의 빈곳을 타고 올라오므로 물을 길어올릴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정지하고 있는 물체는 주위의 유체에서 받는 압력의 합력으로서 부력을 받으며 부력의 향은 중력과 반대이고 그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움직여 공을 들려는 순간 손이 미끄러져 빠지는 느낌이 전달된다. 반면 커서가 공
아래쪽
에 놓여 있을 때는 공이 들리면서 마우스를 잡고 있는 손에 묵직한 무게감이 느껴진다. 이처럼 햅틱 장치는 사람과 컴퓨터가 실시간에 감각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해준다.이와 같은 햅틱 기술은 선진국을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산소가 장내로 들어오지만 소장에 사는 세균 중 일부가 산소를 소모한다. 그 결과 소장의
아래쪽
부터는 산소가 없는 환경을 좋아하는 세균들이 자리잡고 있다. 우리 살기도 힘든데 1kg나 되는 세균들을 평생 달고 다녀야 하는 운명을 탓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미생물이 우리를 먹여살리기 때문이다 ... ...
채워지지 않는 전설의 술잔 만들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물을 더 많이 부어 빨대 안이 물로 가득 차면 긴 빨대 안에 들어 있던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쪽
으로 빠진다. 이때 물이 빠진 만큼 빨대 내부에는 진공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기압차가 생겨 짧은 빨대 안으로 물이 계속 들어가 높이가 h2가 될 때까지 물이 계속 새는 것이다. 임상옥이 항상 곁에 ... ...
한국인 행복 사이즈 실현하는 Size Korea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해 제작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의자에 앉았을 때 허벅지
아래쪽
의 닿는 면적이 좁을수록 좋다. 이 면적이 넓으면 허벅지 아래 정맥이 눌려 오래 앉아 있을 경우 다리에 불편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확한 허벅지 길이, 엉덩이 너비, 무릎 높이와 같은 치수를 ... ...
얇은 피부 속 5층 구조 눈꺼풀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1백50개, 아래에 70-80개의 속눈썹이 나있다.위 속눈썹부터 눈썹까지의 눈꺼풀 피부 바로
아래쪽
은 안륜근으로 덮여있다. 안륜근은 눈을 중심으로 위와 아래에 모두 분포해 마치 바퀴처럼 동심원 형태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안륜근은 외부에서 자극을 받았을 때 수축함으로써 눈을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것이다.푸석바위와 돌알로 구성된 활동층은 약간의 경사만 있어도 중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쪽
으로 이동한다. 이런 현상을 ‘솔리플럭션’(solifluction)이라고 한다. 산지 곳곳에서 형성된 활동층은 계곡 쪽으로 연간 수-수십cm 정도로 서서히 이동한다. 그러다가 빙하기가 끝나면 더이상 움직이지 않고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뒷부리도요는 위쪽으로 휘어진 부리로 갯벌 표면을 쳐서 먹이를 잡아먹고, 마도요는
아래쪽
으로 휘어진 부리를 갯벌 속 깊이 넣어 먹이를 찾는다.새가 공중을 날면서 멀리 있는 적과 먹이를 구별하려면 눈이 매우 중요하다. 사람의 경우 두개골 전체 부피의 약 20분의 1이 눈인데 비해, 새는 두개골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