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동
내부
밑바탕
밑
어림
속
하단
d라이브러리
"
아래쪽
"(으)로 총 786건 검색되었습니다.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공동 연구팀은 유기분자 단층의 위아래로 여러 줄의 전극을 배열했다. 이때
아래쪽
전극은 가로 방향, 위쪽 전극은 세로 방향으로 정렬시키면 위와 아래의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이 생긴다. 바로 이 부분이 트랜지스터와 동시에 캐패시터와 같은 소자의 역할을 하게 된다. 위아래 전극에 전류를 ... ...
인체 결합과 분리의 딜레마 샴쌍둥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있는 두개결합쌍생아도 분리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뇌정맥동은 두개골 바로
아래쪽
에 붙어있는 큰 정맥 혈관인데, 이를 분리할 때 출혈이 시작되면 멈추기 어렵기 때문이다.실제로 지난 7월 8일 29세까지 뇌가 붙은채 살았던 결합쌍생아가 싱가포르에서 52시간 동안 분리 수술을 받았으나 ... ...
송도 늦둥이 흰물떼새 첫 걸음마 포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뒷부리도요는 위쪽으로 휘어진 부리로 갯벌 표면을 쳐서 먹이를 잡아먹고, 마도요는
아래쪽
으로 휘어진 부리를 갯벌 속 깊이 넣어 먹이를 찾는다.새가 공중을 날면서 멀리 있는 적과 먹이를 구별하려면 눈이 매우 중요하다. 사람의 경우 두개골 전체 부피의 약 20분의 1이 눈인데 비해, 새는 두개골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유성성분이 종이에 달라붙지 못한다. 젖은 종이를 먹물무늬가 있는 수면에 대면 먹물의
아래쪽
과 위쪽은 모두 물과 닿아있다. 이때는 중력이 작용해 먹물의 유성성분이 위쪽으로 잘 달라붙지 못하는 것이다.▶▶▶ 목성의 표면에는 왜 무늬가 있을까?목성을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평행한 여러개의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위쪽에 최고령 행성의 일부가 보이고 배경은 M4에 속한 많은 별들이 수놓고 있다. 가운데
아래쪽
을 유심히 보면 이 행성이 돌고 있는 특이한 별 한쌍을 발견할 수 있다. 하나는 물질을 양 극으로 뿜어내며 빠른 속도로 자전하고 있는 중성자별이고 나머지 하나는 백색왜성이다. 두 별 모두가 마지막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판단할 수 있다.실제로 우리나라 신두리 사구지대에는 현재 형성되고 있는 사구의
아래쪽
에 색깔과 외형이 다른 또하나의 사구가 있다. 이 사구는 현재와 해수면 높이가 달랐던 과거에 형성된 사구로 추정된다. 따라서 이곳의 퇴적물을 분석하면 사구가 형성된 시기와 당시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 ...
신경세포가 그리는 초상화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표현됐습니다. 그러나 30분 뒤 관람객의 사진에 대한 전기자극을 받은 다음에는 캔버스
아래쪽
에 붓글씨 모양의 굵은 선이 나타났음을 볼 수 있습니다. 어떤 식으로든 관람객의 사진에 대해 세포가 반응한 것이므로 일종의 추상적 초상화라고 할 수 있겠죠.과학을 활용한 예술행위는 이번이 처음은 ... ...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뜨거운 공기는 위쪽으로 이동하는 대류현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냉혈은 돌밭의
아래쪽
에 온혈은 위쪽에 위치하는 것이다.변 교수는 이같은 대류현상이 일어나기 위한 조건이 바로 돌밭의 적절한 경사라고 말한다. 경사가 완만하면 공기의 대류현상이 잘 일어나지 않고, 급경사이면 공기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우수하다. 이처럼 재생이 잘된다는 얘기는 줄기세포가 많다는 의미다. 실제로 표피층 맨
아래쪽
에 표피줄기세포가 존재하며 모낭, 땀샘, 피지선, 표피로 분화하는 분화 다양성을 보유하고 있다.더욱이 표피줄기세포는 환자로부터 채취가 쉽기 때문에 임상에 적용할 때에도 유리하다. 성체줄기세포를 ... ...
은막 위에 펼쳐지는 향연 극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스피커는 각각이 세부분으로 나눠져 있다. 가장 위쪽 스피커가 고음을 출력하고 가장
아래쪽
스피커가 저음을 출력한다. 왜 이런 순서로 배치됐을까. 파장이 짧은 고음은 중간에 장애물을 만나면 파장이 길어지거나 방향이 바뀌어 객석 뒤쪽에 앉은 관객에게까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