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예쁜꼬마선충으로 ‘제6의 감각’을 찾다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인위적으로
조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계에서는 근육의 움직임을 조화롭게
조절
하는 자기수용감각에 관여하는 신경세포나 수용체에 대한 연구를 통해, 향후 뇌 질환으로 신체의 미세한 움직임 기능이 떨어진 환자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찾을 것으로 전망한다.김 교수는 ... ...
[실전! 반려동물] 금붕어가 삐딱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상하운동을 해요. 금붕어는 부레 속의 공기를 빼내거나 채우는 방법으로 몸체의 밀도를
조절
해 물속 깊이 내려가거나 위로 올라가지요. 또 금붕어는 부레 덕분에 물속에서 좌우 균형을 맞춰 바른 자세를 유지한답니다. 따라서 부레에 문제가 생기면 금붕어의 자세가 흐트러지고 물속을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손상 부위로 이동해 회복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펠리노1이 DNA 손상을 복구하는 상위
조절
자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이창우 성균관대 의대 교수는 “펠리노1의 작용을 억제하면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아 DNA 복구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다”며 “DNA 손상과 연관된 유전질환이나 면역질환 등 각종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기관 중 하나로 불린다. 안구의 동공보다 더 빠르고 정확하게 움직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
한다. 후두를 통해 나온 공기의 흐름이 혀를 포함한 발성 기관의 움직임에 따라 각기 다른 목소리로 바뀐다. 우선 발성을 하기 위해 폐와 복부에 위치한 가로사이막과 복근이 뇌에서 전달된 신경 명령에 따라 ... ...
버스 공공 와이파이로 BTS 뮤비 틀어보니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노선별 데이터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며 “사용량 집계 결과에 따라 데이터 용량을
조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류 부장은 “공공 와이파이 서비스는 국민들이 통신 복지 혜택을 고루 누리게 하는 게 목적”이라며 “가급적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간단한 웹페이지 검색이나 메신저 이용에 공공 ... ...
[맛있는 수학] 도우의 변신은 무죄! 토르티야 피자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그런데 구부러짐과 펼쳐짐은 서로 독립적인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어느 한 쪽을
조절
함으로써 다른 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이런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독일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예요. 빼어난 정리는 ‘곡면을 찢지만 않으면 구부리거나 늘려도 가우스 곡률은 ... ...
[영국유학일기] 한 번에 최대 40권 대여, 임페리얼칼리지 도서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4~5층에 위치해 있고, 하늘색과 연두색으로 꾸며져 있다. 서서 공부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는 책상이나 산뜻한 디자인의 책상도 일부 있지만, 대부분 한국의 독서실처럼 넓지 않은 개인 공간에 칸막이를 친 책상들로 이뤄져 있다. 책상 중 절반 정도는 학교 컴퓨터가 설치돼 있고, 학교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오른쪽이 진동하면 왼쪽으로 이동하지요. 또 120Hz부터 220Hz까지 진동수를 바꿔 속도도
조절
할 수 있어요. “리모컨카는 진동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본체가 무거워지면 느려지거나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어요. 공놀이를 위해 개조하고 나서 속도가 줄었다면 불필요한 장식을 없애 보세요. 또 요철이 ... ...
10대 '저녁형 인간'이 30대 '아침형 인간'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제1저자인 최경아 연구교수는 “향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앱)과 연계한 조명
조절
시스템을 개발하면, 각자의 생활 패턴에 맞는 권장 수면 시간과 기상 시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빈 깡통의 화려한 변신 캔 캔 두 잇(Can can do it!)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4호
이에 빨아들인 물을 강하게 분사하는 ‘제트 추진기’나, 자기장과 전류로 물의 흐름을
조절
하는 ‘전자기 추진기’ 등으로 프로펠러를 대체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답니다. ● 어떻게 된 걸까?→결과 : 깡통이 ‘퍽’ 소리를 내며 순식간에 찌그러진다. 빈 깡통에 물을 조금 담은 뒤 가열을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