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집중시킨다. 그러면 액체 상태로 존재하던 분자가 고체 입자로 변하고, 이 입자를 조절하면 나노 패턴을 그릴 수 있다. 연구팀은 우선 양광자석판인쇄기법을 적용해 μm 크기의 앨리스 패턴을 만들었다. 그런 뒤 하이드로겔의 화학적 조건을 바꿔 수분을 제거해 크기를 1000배가량 줄였다. nm 크기의 ... ...
- [과학뉴스]트라우마, 시각 자극으로 지운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조절하는 광유전학기법이 사용됐다.신 단장은 “앞으로 공포기억을 억제하는 회로를 조절하는 약물과 기술 연구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1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doi: 10.1038/s41586-019-0931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죽음의 최후 목격자, 파리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파리가 자라는 성장 속도는 철저하게 온도에 달려있는데, 이는 파리가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수 없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온도는 미생물 및 화학적 변화와 더불어 곤충의 성장에도 관여하며, 부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사건 현장에서 발견된 시체는 부패가 진행되고 곤충 또한 ... ...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하면 힘을 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쓴다. 에너지를 내니 체온이 오른다. 체온을 조절하기 위해 우리 몸은 땀을 배출한다. 땀의 주성분은 물이다. 땀을 계속 흘리면 그만큼 체내에서 수분이 빠져나가고, 제때 보충이 되지 않으면 갈증, 메스꺼움 등 탈수 증상이 나타난다. 1~2시간 이상 오래 ... ...
- [과학뉴스] 변신 드론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을 정도로 물체에 가까이 접근할 수 있었지요. 연구팀이 개발한 드론은 크기를 조절하며 좁은 공간을 통과할 수 있어 화재나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 사이를 이동하며 구조작업에 나설 수 있어요. 연구에 참여한 스테파노 민체프 박사는 “이 드론은 사고 현장에서 인명을 구조할 수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계에는 발효에 필요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온도조절장치와 탄산 수준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들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아직 국내에는 출시되지 않았지만 그 맛이 웬만한 브랜드 생맥주처럼 시원하고 신선하다니, 과학동아 편집실에도 한 대 구비해두고 싶은 욕망이 샘솟는다 ... ...
- [과학뉴스]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유전자 활성을 조절하는 인핸서(enhancer) 그룹이 발현할 유전자를 선택하고 활성을 조절한다”며 “이렇게 서로 다른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끼리 상호 작용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86-018-0845-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버튼이었다. 허진스는 “대부분 이어폰에 달린 버튼이 음악을 재생하고 멈추거나 음량을 조절하는 것으로만 알고 있다”며 “사실 누구나 쉽게 다운 받을 수 있는 자동 실행 앱만 있으면 이어폰 버튼 하나를 누르는 것만으로도 휴대전화 내 모든 앱을 실행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폰 버튼만 ... ...
- [10대의 약] 매사에 공격적이고 예민해요 ‘중2병’일까요, 우울증일까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뇌의 세로토닌 양을 증가시켜 우울증을 치료하는 약입니다. 세로토닌은 기분 조절, 수면, 근 수축, 식욕, 기억력, 혈액 응고반응 등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전달물질로, 우울증 환자의 뇌에는 이런 세로토닌의 양이 적습니다. 플루옥세틴은 뇌의 시냅스전 세포(presynaptic cell)에서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 ...
- [Culture] 머리는 사람, 몸은 기계 다시 깨어난 사이보그 전사 알리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소재를 이용해 홍채를 제작했다. 그 결과 외부 전원 없이도 빛의 세기에 따라 빛의 양을 조절하는 홍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 이 홍채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가시광선만 선택적으로 투과할 수 있다. 사이보그 무술? 뇌파 조종이 답 중국 무협영화를 연상시키는 ‘기갑술’이라는 화려한 액션도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