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전공했고 고운한글과 아리따부리와 같은 서체를 디자인했다. 디자인한 글꼴을 컴퓨터에 타이핑했을 때의 짜릿함을 아직도 간직하고 있다. 다양한 서체를 디자인하며 라틴 문자와 문장부호에 관심이 생겼고 유학을 선택했다. 글꼴 디자인은 굉장히 문화적인 영역으로 한국 문화권에서 성장한 그에게 ... ...
- [기획] 서핑, 파도의 속도를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파도의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론 페드키우(Ron Fedkiw)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컴퓨터학과 교수가 1999년 처음으로 이 방정식의 근사해를 CG 시뮬레이션에 적용했고,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2006)’에서 거센 파도를 3차원 그래픽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죠. 이처럼 예측하기 어려운 ... ...
- [한페이지 뉴스] 독사 어금니의 치명적인 진화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팔치 호주 플린더스대 공학 및 과학부 교수팀은 19종의 뱀과 3종의 도마뱀의 이빨을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스캔하고 그중 일부를 조직검사와 3차원(3D) 기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독을 가진 모든 뱀에서 ‘플리시덴틴(plicidentine)’ 구조를 발견했다. 플리시덴틴은 치아 내부의 뿌리 부분이 주름진 ... ...
- “따뜻한 기술을 구현하는 개발자가 더 많아지길”과학동아 l2021년 09호
- IDEAMP뿐만 아니라 케라스(Keras) 코리아의 운영진으로도 열심히 활동하고 있다. 케라스는 컴퓨터 언어의 일종인 파이썬으로 작성된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다. 딥러닝을 쉽고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케라스 코리아는 케라스 사용자들의 커뮤니티로 현업 개발자보다 개발자를 꿈꾸는 학생, 교사, ... ...
- LIMS 전 세계에 흩어진 지니봇을 내가 조종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통해 학생들의 로봇을 원격으로 조종할 수 있어요. 학생들의 코드를 선생님이 컴퓨터로 확인하며 잘못된 점을 알려주고 수정하거나, 실시간으로 평가하고 분석할 수 있답니다.직접 만나지 않아도 선생님과 함께 내 지니봇을 조종할 수 있다니…! 정말 놀라워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도 지니봇으로 ... ...
- [기획] 스포츠 클라이밍, 무게중심을 이동시켜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염 교수는 “실제 계산은 각 분절이 축에서 벗어난 정도까지 고려하기 때문에, 보통 컴퓨터를 이용해 인체의 무게중심을 구할 수 있다”며 “수학과 역학에 근거해 무게중심을 구하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해 선수의 행동과 경기력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도 해설위원은 ... ...
- [IBS×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얼마나 오를지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박사과정 마지막 해에 열렸던 미국 컴퓨터 협회(ACM)에서 최우수 논문상을 받았으며,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제안받았다. 더 큰 네트워크의 세계로 데이터 과학은 내게 매혹적인 퍼즐 같았다. 복잡하고 정제되지 않은 데이터를 ... ...
- [이공계 인터뷰] 첨단산업의 출발점 반도체 엔지니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진학을 추천한다”면서도 “워낙 다양한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만큼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등 공학 분야라면 어느 전공이라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 TL도 학부는 전자공학을 전공했지만 석·박사는 바이오 및 뇌공학을 전공했다. 그는 “미지의 분야에 도전하고 싶어서 선택했다”며 ... ...
- 이불킥 하신 분 어서오세요, 기억 지워드립니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속에 각인된다. 마치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음악이 귀를 통해 들어오면서 ‘뇌’라는 컴퓨터에 디지털 파일로 저장되는 것과 비슷하다. 1904년 독일의 학자인 리하르트 제몬은 기억 정보를 담고 있는 뇌 속 흔적을 ‘엔그램(engram)’이라고 정의했다. 지난 100여 년간 엔그램의 실체를 밝히기 위한 ... ...
- [논문탐독] 이미지와 자연어를 연결 짓는 새로운 딥러닝의 등장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각 픽셀 값을 빨간색, 초록색, 파란색의 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컴퓨터는 이 이미지를 단지 커다란 숫자들이 모여 있는 형태의 데이터로 인식하며, 각각의 픽셀 속 값들이 모여서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알지 못합니다.그런데 점차 비정형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분야가 늘고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