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배경복사가 보여준 결과는 놀라웠다. 하늘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는 모두 똑같은 온도였다! 각자 다른 방향에서 왔는데 어떻게 서로 짠 것처럼 온도가 같을 수 있었을까?제주도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 두 대를 띄웠다고 해보자. 두 배는 서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같은 속도로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는 어떻게 태어났고, 어떻게 변해왔을까? 과학자들은 지금으로부터 138억 년 전, 아주 작은 한 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나며 우주가 탄생했고 지금까지도 계속 팽창하고 있다고 말한다. 바로 ‘빅뱅 이론’이다.빅뱅 이론의 ‘빅뱅’은 사실은 ‘뻥!’이다. 그 이름도 유명한 빅뱅 이론이 뻥이라니 ... ...
- PART 3. 수학으로 중력파를 찾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배경복사를 보면 우주 탄생 후 38만 년, 그 순간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38만 년 이전 초기우주의 모습은 추측일 뿐이다. 아직까지는 직접 볼 수 없는 미지의 세계였다. 이제 그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지난 2월 중력파 최초 관측 성공에 이어 지난 6월 두 번째로 성공하면서, 중력파를 이용한 ... ...
- INTRO. 빅뱅의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아인슈타인, 프리드만, 허블, 가모프. 우주의 신비를 풀어내기 위해 노력한 과학자들이다. 이들의 노력 덕에 인류는 우주를 조금이라도 이해하게 됐다. 하지만 우주 탄생의 순간이 어땠는지는 추측만 할 뿐이다. 지금까지 그곳으로 가는 문은 굳게닫혀있었다. 최근에야 이 문을 열 열쇠가 생겼다. 그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삶을 바꿀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 중력파를 주제로 강연을 한 김정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중력파의 발견으로 새로운 천문학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중력파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돼 중력파, 전자기파 등 우주에서 오는 여러 신호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데이터를 수집할 것인지가 첫 번째 관건이다. 다양한 데이터 중에서도 이창용 UNIST 경영공학부 교수는 최근 위키피디아 데이터를 통해 신기술을 발굴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전에는 신기술 발굴을 위해 특허 데이터를 주로 활용했다. 그러나 최근 한계가 드러났다. 이 교수는 3D 프린팅 기술을 ... ...
- [Career] 연구자의 꿈을 이뤄주는 ‘슈퍼’ 도우미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는 주로 과학과 공학, 산업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쓰인다. 이원종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과 힘의 근본 원리를 연구하는 데 슈퍼컴퓨터를 활용했다. 이 교수의 연구분야는 쿼크와 렙톤 등 물질을 구성하는 입자와 그들 사이에 작용하는 네 가지 기본 힘의 작용 원리를 ... ...
- [News & Issue] 브렉시트, 한국 과학계엔 나비 효과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당장은 연구비가 끊기지 않겠지만, 이후 해당 연구를 진행할지는 미지수니까. 실제로 학부를 다니던 시절 외국인 유치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했는데, 당시 영국 총리였던 데이비드 캐머런이 외국인 유치 제한 정책을 펼치며 사업에 대한 자금을 끊었다. 계약직이었던 나는 해고 대상 1순위였다. ... ...
-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시체농장에 숨겨져 있을 수도 있다. 정양승(yangseung77 @gmail.com) 서울대 인류학과에 서 학부와 석사를 마 치고 미국 테네시대 인류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과정 동안 시체농장 에서 시신 230구의 부패 과정을 매일 사 진으로 촬영해 데이 터베이스를 구축했 고 다양한 연구를 진 행했다. 현재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모집한 것은 불과 3년 전이다. 이번에 기자가 만난 3학년 학생들은 모두 DGIST의 첫 번째 학부생으로, UGRP는 이 학생들이 과학자로 첫 발을 내딛는 과정이다.처음은 언제나 설레는 법이다. 그 설렘은 아마 많은 청춘들이 오늘도 캠퍼스 한켠에서 뜨거운 여름을 보내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올 여름의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