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실험실에 찾아온 크리스마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메리 크리스마스’!박테리아도 크리스마스를 열렬히 반긴다. 영국 워릭대자연과학부 무네히로 애설리 교수가 작년 12월에 만든 작품. 먼저 30℃의 배지에 14시간 동안 고초균을 배양했다. 금속으로 2mm 크기 글자를 만든 뒤, 그 위에 생물막이 자라도록 유도했다. 글자 모양으로 완전히 자라는 데 1 ... ...
- 포스가 깨어났다, 과학으로 영접하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요다가 주인공인 루크 스카이워커를 훈련시킬 때 등장한다. 놀랍게도 밀러 교수와 학부생 제자들은 국제우주정거장(ISS) 내부에서 무리지어 움직일 수 있는 소형 인공위성 드로이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스피어스(SPHERES)’라는 이름이 붙은 이들은 2003년부터 실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다양한 ...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불활성화시켜 이들과 사회적 교감을 피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팀은 프린스턴대 학부생들에게 마약중독자, 노숙자 같은 부정적 고정관념이 있는 사람과 아이, 노인 같이 긍정적인 느낌을 주는 사람의 사진을 보여주고 fMRI로 그들의 뇌를 관찰했다. 그 결과 부정적 고정관념이 있는 이들의 ... ...
- 우주먼지부터 인공먼지까지, 먼지를 팝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여기 기상천외한 장이 열렸소. 품목은 바로 먼지! 봉이 김선달이 특별히 엄선한 먼지들로 준비했으니 쓸모없고 해롭다고만 생각지 말고, 일단 와서 준비된 먼지들을 보길 바라오. 금세 매진될 것 같다고 하니 관심 있는 자들은 봉이 김선달의 설명을 잘 듣고 원하는 먼지를 꼭 살 수 있길 바라오! ... ...
- [지식] 천재 수학자의 유산 라마누잔의 노트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수식을 쓸 때 학계에서 사용하는 수학 기호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종종 대학 학부생 수준의 증명도 하지 못했다. 수학자들과 교류도 거의 없었다. 그래서 라마누잔의 독특한 풀이 과정은 종종 다른 수학자를 당황하게 했다. 하지만 라마누잔은 다른 수학자가 만든 식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연구실에서 일어나는 모든 갈등을 다룬다. 윤태웅 고려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교수에게도 도움이 되는 제도”라고 했다. “꼭 지도교수가 나빠서만 갈등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경우 소통방식의 차이, 성격과 가치관의 차이로 교수와 학생 사이에 갈등이 생깁니다. 교수와 교수 사이도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토마스 린달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명예교수, 폴 모드리치 미국 듀크대 의대 생화학부 교수, 아지즈 산자르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의대 생화학 및 생물리학과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인간의 DNA는 자외선이나 각종 발암물질에 손상받기 쉽다. 정상적으로 대사활동을 하는 과정에서도 종종 DNA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400년 만에 초신성 폭발을 관측했을 당시 김제완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명예교수는 미국 존스홉킨스대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었다. 올해 노벨물리학상의 주인공들과 같은 중성미자(뉴트리노)를 연구하는 입자물리학자인 그는 SN1987A 초신성에서 방출된 중성미자 연구를 준비하기 위해 도서관을 ... ...
- [노벨과학상 2015] PART 1 물리학상 ‘유령입자’의 변신을 확인하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올해 노벨물리학상은 또 한 차례 입자물리학에 돌아갔다. 중성미자의 진동변환을 발견한 물리학자들이 상을 받았다. 화학상은 세포가 손상된 DNA를 스스로 복구하는 원리를 밝힌 과학자들이 차지했다. 생리의학상은 기생충과 말라리아 치료 연구에 한 평생을 바친 이들에게 돌아갔다. 올해 노벨상 ... ...
- 시각 장애인 돕는 ‘스마트 지팡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제 친구나 가족의 얼굴을 알아볼 수 있게 됐어요. 영국 버밍엄시티대 스티브 아디그보 학부생을 포함한 3명의 학생 연구자가 10m 떨어진 곳에서도 다가오는 사람의 얼굴을 알아볼 수 있는 스마트 지팡이 ‘익스플로알(XploR)’을 개발했거든요.이 스마트 지팡이의 비밀은 메모리 카드에 있어요.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