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부"(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부교수 채용공고가 났다. 1867년 클라우지우스가 떠난 뒤 없어졌다 부활한 이론물리학부였다. 아인슈타인은 당연히 지원했다. 심사위원 중 한 명이었던 알프레트 클라이너의 추천사가 흥미롭다.“아인슈타인은 오늘날 가장 중요한 이론물리학자중 한 사람입니다. 상대성원리에서 그의 비상하게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공학과 의학의 만남이 인공피부를 만든 거죠”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어떤가선택의 폭이 넓다는 것은 화학생물공학부의 큰 장점이에요. 우리 학부에는 유기화학, 무기화학, 바이오, 화학 공정 등 다양한 분야의 교수님이 계십니다. 기초 수업을 들으면서 어떤 분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나중에 본인의 세부 전공을 정하면 됩니다 ... ...
- [과학뉴스] 약지 긴 남자, ‘체력’도 강하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남편감을 한 번에 알아보려면 손가락 먼저 살펴봐야 할까. 영국 케임브리지대 생물인류학부 롱맨 대디 교수팀이 약지 길이가 길면 체력도 강하다는 연구 결과를 4월 8일 ‘과학공공도서관회보(PLOS ONE)’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13 로빈후드 하프마라톤’에 참가한 선수 542명의 손가락 길이와 대회 ... ...
- Part1. 거짓말 잘하는 비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는 것 자체가 창의성이기도 하다. 윤영길 한국체육대 사회체육학부 교수는 “메시처럼 세계적인 선수들을 보면, 일반적인 드리블 패턴에서 벗어나있다”고 말했다. 딱히 속임수를 쓰는 것은 아니지만, 보통 선수들과는 다르게 움직이니 일정한 패턴으로 연습한 프로선수들은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하다] ‘지름신’ 부르는 뇌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태동하는 뉴로마케팅실험실 문을 열고 들어가자 낯선 풍경이 펼쳐졌다. 덩그러니 놓인 TV 한 대. 그 앞에 뒤돌아 앉아있는 연구자. 머리에는 녹색 센서 20여 개가 ... 연구 분야를 “그야말로 융합학문”이라면서 “여러 관심분야를 가진 학생이 우리 학부에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 ...
- [Life & Tech] 페이스북 ‘과고드립’ 운영자 인터뷰 “너드요? 저는 개성이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운영자 셋 중 두 명을 3월 7일 동아사이언스 본사에서 만났다.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3학년 이석형 씨(21, 사진 왼쪽)와 KAIST 생명과학과 3학년 박건희 씨(21, 사진 오른쪽)였다. ‘굉장히 독특한 사람’일 거라는 선입견과 달리 이들은 평범했다. 옷도 단정했고 예의발랐다. 그런데 이야기를 해보니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시스템의 현대차, 재료의 도요타”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원래는 조선공학을 전공했는데.학부 때 전공은 조선공학이 맞습니다. 그런데 막상 유학을 가려니 조선공학을 할 수 있는 곳이 몇 곳 없었습니다. 게다가 미국 학계는 상선을 만들기보다는 군함개발 같은 방위산업에 초점을 맞추고 있더라고요. 그래서 조선공학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기계공학으로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캡스톤 디자인’을 필수과목으로 도입하고 있다. 캡스톤 디자인은 공대 학생이 학부 과정에서 배운 이론으로 실제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1년 동안 제품 기획·설계·제작을 실습하는 특별 과정이다. 1994년 우리나라에 처음 도입됐을 때만 해도(기자가 학교를 다니던 때까지도) 기계과, 전자과 등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연구하고 있지만요. 만약 그때로 돌아갈 수 있다면 다른 학과 수업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학부 수업이 아니고는 그렇게 잘 짜인 수업을 받을 기회도, 시간도 없습니다. 저는 통계학 수업을 듣지 않아서 대학원 때 무척 힘들었어요. 혼자 공부하느라 몇 배나 많은 고생을 했습니다. 전자공학을 ... ...
- [Hot Issue] 인공유산 여전한 우리나라, 여초시대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남아선호가 줄었다는 것이다. 그 중에는 경제학적인 이유도 있다.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과거에는 아들, 특히 장남이 노후대책으로 중요했는데 여성의 지위가 개선되면서 딸을 노후대책으로 고려하는 부모가 많아졌다”며 “실제로 1993년부터 2007년까지 출생성비는 115.3에서 106.2로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