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산화 반응을 통해 생물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변형시킬 뿐만 아니라, 다른
화학
물질과 반응해 클로라민이나 N-니트로소디메틸아민 등의 발암물질을 생성한다고 보고했다. doi: 10.1126/science.abb8905 온실가스는 다시 증가 올해 4월까지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어들었다. 하지만 ... ...
Science Festival│ SF가 그린 디스토피아? 두려워 말고 준비하세요!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미사일 같은 무기는 특수한 공장에서도 만들기 쉽지 않은데, 바이러스 같은 생
화학
물질은 그에 비하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유전자 편집을 비롯한 생명공학 기술이 저렴하고 손쉽게 다룰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기도 합니다.가령 누군가가 나쁜 마음을 먹고 조류인플루엔자에 걸린 닭의 ... ...
[에디터노트] 노벨상과 질문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이룬 위대한 연구가 과연 어떤 질문에서 출발했는지를 집중적으로 다뤘습니다. 노벨
화학
상을 공동 수상한 제니퍼 다우드나(56)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는 자신의 전문 분야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분야에서 질문을 던졌더군요. RNA 연구 분야의 저명한 연구자였던 다우드나 교수는 돌연 ... ...
[화보] 유기젤 레시피...무생물에 숨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생
화학
자인 엘즈비에타 쿠로프스카의 손을 거치면 어둠 속에 숨죽이고 있던 물체는 생동감 넘치는 생명체로 되살아난다. 오랫동안 과학계에 몸담아 온 작가는 유기 젤(organic gel)로 생명체의 모습을 구현했다. 작품 내부에서 발산되는 신비로운 빛을 포착하기 위해 각도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 ...
매월 1290억개 마스크 쓰레기, 어떻게 처리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발전소 전기 생산 과정에 적용할 수 있는 포름산으로 전환한 것이다. 플라스틱과
화학
물질을 혼합한 용액에 인공 태양광을 쪼이면 분해되는 원리를 이용했는데, 실험결과 플라스틱이 단 6일 만에 모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oi: 10.1002/advs.20190202 ... ...
[융복합 파트너@DGIST] 나노 상자에 ‘쏙’ 담아 자동차 배기가스 없앤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것과 같다”며 “어떤 물질을 이용하더라도 물질에 대한
화학
적 이해가 필수적이므로
화학
결합에 관한 기초과학적 연구는 계속돼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 ...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생각하면서 그림을 그리면 방구석 빛 축제를 더 과학적으로 즐길 수 있겠죠? 에필로그
화학
발광 현상은 신나는 빛 축제만 열어주는 게 아닙니다. 코로나19 연구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클리아(CLIA) 기법이라고 불리는 항체 검사법에 활용되고 있죠. 클리아 기법에서 사용하는 형광 색소는 ... ...
질문으로 보는 2020 노벨과학상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 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펜로즈의 특이점 정리PART 4
화학
상 │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PART 5 도전 │ ‘궁극의 질문’ 공모전 START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나오기 시작한 1978년 이후 울프상 수상자의 약 30%는 노벨과학상까지 획득했다. 올해 노벨
화학
상 수상자인 샤르팡티에 교수와 다우드나 교수도 2020년 1월 의학 부문 울프상을 받았다.한편 과학자들의 피인용률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예측하려는 시도도 있다. 글로벌 학술 정보 기업 ... ...
[내가 만난 노벨상 수상자]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질문을 풀어내는 과정에서 큰 성장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필자소개이호영. 서울대
화학
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받고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테리아를 이용한 천연물 합성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2008~2013년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 연구실에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