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록
보고서
대답
반응
응수
회답
편람
뉴스
"
회보
"(으)로 총 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방 낮춘 초콜릿 제조비법: 그저 전기 자극만 주면 끝!
2016.06.23
참을 수 없을 때 슬쩍 입에 털어 넣을 것 같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Proceedings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월간지 및 내셔널 지오그래픽 단행본의 에디터를 거쳐 현재는 프리랜서 외신 번역 및 에디터로 ... ...
낙타 유전자 다양성의 비결은 ‘여행’
과학동아
l
2016.06.16
과정에도 불구하고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5월 9일자에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동물을 가축화하면 그 과정에서 유전자 다양성이 크게 감소한다. 원하는 형질을 띤 개체끼리 교배시키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대의 단봉낙타 1100마리의 DNA를 분석한 ... ...
드론 공격 막는 도심형 레이더 개발
2016.06.15
말했다. 연구 성과는 레이더 분야 국제 학술지지인 ‘IEEE 항공우주 및 전자시스템
회보
(IEEE Transactions on Aerospace and Electronics Systems)’ 온라인판 5월 26일자에 게재됐다. ... ...
그래핀 대체할 2차원 고분자 나온다
2016.06.14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꿈의 신소재’로 불리던 그래핀을 대체할 새로운 2차원 물질을 개발했다. 백종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 그래핀의 자리를 위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15일자에 실렸다. ... ...
코끼리주둥이고기의 어안 렌즈
과학동아
l
2016.05.16
망막을 모방해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잘 모으는 인공눈을 개발했다고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 Bjoertvedt(W) 제공 코끼리주둥이고기는 주둥이가 코끼리 코처럼 길쭉하게 튀어나와 있는 열대어다. 이 물고기는 독 특한 주둥이 구조만큼이나 놀라운 망막을 가지고 있는데, ... ...
‘내 발을 바라봐’ 발로 구애하는 개구리
2016.05.10
전달하기에는 너무 시끄러워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최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에는 보르네오 섬 정글 속 급류가 흐르는 지역에 서식하는 보르네오 바위개구리에 대한 논문이 실렸는데요. 이번 연구는 오스트리아 비엔나 동물원에 ... ...
‘작은 날개, 긴 다리’ 섬 새 유행 예감
과학동아
l
2016.05.09
섬에 서식하는 새들의 진화를 예측한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몬태나대 생물학과 나탈리 라이트 박사팀은 섬에 사는 조류들이 대륙에 사는 친척 종보다 ... 진화할 가능성이 점점 줄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4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세상에서 제일 빠른 단백질’ 순간포착 첫 성공
2016.04.26
산업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
(PNAS)’ 25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탄산 탈수 효소의 작용 과정 모식도. 이산화탄소가 탄산탈수효소에 결합된 뒤(A), 물 분자에 녹아 들어가면서 이산화탄소가 다시 탄산탈수효소에서 빠져나가면서 ... ...
‘뚜벅뚜벅’ 빛 따라 걷는 바이오로봇
과학동아
l
2016.04.24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3D프린터와 근육세포를 이용해 만들고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전에도 전기장을 이용해 조종하는 바이오로봇을 만들었다. 하지만 전기장은 생명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고, 좁은 부위의 특정 근육만을 선택적으로 조종하기 ... ...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
과학동아
l
2016.04.22
분석해 종 간의 특징을 찾아내는 컴퓨터 비전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미국국립과학원
회보
(PNAS)’ 3월 7일자에 발표했다. 식물의 잎과 잎맥의 모양은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종마다 다르다. 하지만 그 차이가 워낙 미세해서 육안으로는 구분해내기가 어렵다. 연구팀은 잎맥이 잘 보이도록 표백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