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이런 사실은 우주배경복사에서 보이는 온도의 미세한 불균일함으로 실제 관측됐다.
물질
의 밀도가 우주배경복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초기 밀도의 이런 불균일함은 후에 은하나 은하단으로 자라났다.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어디에서나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특정한 중심이 없다. 또 빅뱅 ... ...
동물의 갖가지 체온유지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일부 포유동물은 온혈성을 포기한다. 그리고 체온을 낮춰 동면상태에 이르러 체내
물질
의 소비를 줄인다. 겨울잠에 들어간다는 말이다.그렇지만 동면동물이 겨울잠에 들었을 때 체온조절을 완전히 포기하고 환경온도에 의존하는 것은 아니다. 환경온도가 아주 낮아지면 동면 도중에 깨어나 열생성을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한다. 또한 박테리아의 활동을 도와 발효 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변을 부풀리고 발암
물질
의 생성을 막는다.6·25 때 한국인들은 터무니없이 작은 미국의 대변을 보고 ‘염소똥’이라고 놀려댔다. 세월이 흘러, 반세기만에 한국인도 작고 굳은 ‘선진국형 염소똥’을 누는 국민이 됐다. 한국인의 하루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독성
물질
을 탐지해야 그
물질
에 적당한 처리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독성
물질
이 유입되면 빛을 발생하도록 유전자가 조작된 미생물이 연구되고 있다. 앞으로 미생물의 빛을 감지해 독성을 효과적으로 탐지하는 시스템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미래 ET산업의 핵심다양한 물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나란한 막이 결국 충돌할 때 에너지가 나오고 우리우주는 빅뱅우주론에서처럼 가열돼
물질
과 열로 가득 찬다.2001년 봄에는 미국 프린스턴대의 폴 슈타인하르트 교수팀이 또다른 종류의 막 충돌이론을 제안했다. 특히 빅뱅의 버팀목인 급팽창이론을 도입하지 않고 우주를 설명할 수 있다고 ... ...
왜 생명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연구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인간에게 유익한 도구가 될 수는 없을까. 아니다.바이러스 학자들은 바이러스가 유전
물질
을 세포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특성이 있다는 점에 착안해 유전자 치료에 치료용 유전자를 전달하는 벡터(vector)로 개발하고 있다. 1990년에 첫번째 유전자 치료가 실시된 이후, 현재 세계적으로 4천여명의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온도계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개발됐다. 탄소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구성된 긴 원통구조
물질
로, 현재 여러 나노과학 분야에서 실제 제품을 만드는데 응용되고 있다.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 나노소자 실험실의 이후아 가오와 요시오 반도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 안에 액체 갈륨을 넣어서 이 온도계를 ... ...
먹을거리 논쟁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동물의 살은 빨리 부패하므로 몸 안에 오랫동안 머물면 피를 오염시키고 수많은 독성
물질
로 전환된다.이 때문에 사자, 개, 늑대, 고양이 등의 육식동물은 매우 단순하고 짧은 소화기관을 갖고 있다. 소화기관의 길이는 몸길이의 3배 정도여서 빨리 배설하게 돼 있고, 그 내부의 모양도 매우 매끈해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권유로 1895년 피에르는 뒤늦게 박사학위 논문을 제출했다. 그의 논문은 온도에 따라
물질
자성의 정도가 달라진다는 내용으로, 오늘날 ‘퀴리의 법칙’으로 불린다. 이때부터 피에르는 프랑스와 여러 나라의 과학 학회에서 활발하게 논문을 발표하면서 점점 국제적 명성을 얻어갔다. 영국의 켈빈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분석 디바이스를 발표했다. 그리고 1981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미세 채널에 의해
물질
을 분석해내는 캐필러리 전기영동(CE) 칩을 발표하지만 큰 관심을 얻지 못했다.이후 1994년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마이클 램지 연구팀이 미량의 샘플을 분리해내는 마이크로 채널 칩을 개발하기에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