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1,681건 검색되었습니다.
크리스마스 장식은 천연기념물?!
과학동아
l
200612
호랑가시나무가 군락을 이뤄 흰 눈 속에 빨간 열매가 수놓는 장관을 볼 수 있다.
미국
에도 유명한 호랑가시나무 군락이 있다. 바로 영화의 도시 ‘할리우드’(Hollywood)로 호랑가시나무(Holly) 숲이라는 뜻이다. 호랑가시나무는 카페인, 탄닌, 사포닌 같은 성분이 들어 있어서 골다공증이나 관절염 ... ...
INTRO 8일간 환상의 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612
주에 우주공항을 건설하고 있다.블루 오리진:아마존닷컴의 CEO인 제프베조스가 세운
미국
의 우주여행업체. 저궤도비행 우주선을 구상하고 있다.우주여행 얼마면 갈까?우주여행을 준비하는데 비용을 해결하는 게 가장 쉬웠다고 밝힌 데니스 티토는 우주여행에 약 2000만달러(190억원)을 지불했다. 마크 ... ...
취향 따라 골라 입는 패션 우주복
과학동아
l
200612
입을 우주복을 디자인하되 기능적이면서도 과학적이고 스타일까지 살리라는 것. 이는
미국
의 우주관광기업인 ‘로켓플레인’의 아이디어에서 시작됐다. 로켓플레인은 현재 ‘로켓플레인 XP’라는 우주여행 전용선을 개발하고 있다. 로켓플레인 XP는 전투기 크기로 조종사 1명 외에 승객을 3명까지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12
비행사들 사이에 감정적인 균열이 생겨 집단생활이 어려워질 소지가 다분하다. 1992년
미국
최초의 부부 우주비행사인 마크 리와 제인 리는 우주공간에서 성행위를 실험했지만 귀환 후 의료진과의 인터뷰에서“성교를 하기가 어려웠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2000년 프랑스의 한 ... ...
생활 속 단위의 세계
과학동아
l
200612
발생하는 원인도 자동차 속도의 단위 문제 때문이다. 제한속도가 마일로 표시돼 있는
미국
도로를 달리던 운전자가 킬로미터를 쓰는 캐나다 도로에 들어서면서 무심코 과속을 하다가 사고를 낸다는 것이다.미터법과 야드파운드법의 단위를 혼동하는 일은 항공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중국 ... ...
쿨하게 열나게 온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612
때의 눈금을 100으로 해 그 사이를 100등분한 눈금(화씨온도)을 사용했다. 요즘 화씨온도는
미국
과 영연방에서만 쓴다.보통 온도계는 표준온도계와 비교해 제작한다. 온도의 표준을 재기 위해서는 25K 이하에서 증기압이나 기체 팽창을 이용한 온도계를, 1200K에선 온도에 따라 전기저항이 변하는 ... ...
행복한 엔지니어 이달우 회장
과학동아
l
200612
‘한국 코트렐 맨’이란 자부심이 회장이 대형 집진장치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62년.
미국
에서 수입한 2기의 전기집진기를 마산화력발전소에 시공하면서다. 이 회장은 이때 전기집진기 내부를 속속들이 이해하면서 국산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 뒤 전기집진기를 만드는 일에 일로매진 ... ...
달콤함 뒤의 쓴맛 '시차적응'
과학동아
l
200612
뒤 찾아오는 불청객 ‘시차적응’. 시차를 경험하면 불면증, 두통으로 몸이 피로해진다.
미국
버지니아대 진 블록 박사팀은 사람이 지속적으로 시차를 경험하면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영국 생물학지‘커런트 바이올로지’인터넷판 11월 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 ...
수질 정화하는 나노 쇳가루
과학동아
l
200612
비소의 농도가 물 1L당 10μg(마이크로그램, 1μg = 1백만분의 1g) 이하로 떨어졌다.이 농도는
미국
환경보호국(EPA)이 정한 식수의 비소 농도 허용치다.콜빈 교수는 “실험에 사용한 나노 입자는 흔히 볼 수 있는 녹슨 철로 만든다”며“비소로 오염된 식수 문제를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을 ... ...
타란툴라의 독은 맵다?
과학동아
l
200612
알려져 있다. 하지만 독이 어떤 방식으로 이런 고통을 유발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신경학자인 데이비드 율리어스 교수는 타란툴라의 독이 TRPV1이라는 신경세포 수용기에 작용한다는 사실을‘네이처’11월 9일자에 발표했다. TRPV1은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물질인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