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뉴스
"
분
"(으)로 총 10,70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
과학동아
l
2019.08.09
활성화되는지 기록하고, 이후 뉴런의 신호를 하나씩
분
석했다. 그 결과 뉴런 신호의 약 3
분
의 1이 일정한 리듬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신혜영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감마파가 뉴런의 리듬을 조율하는 메트로놈 역할을 한다는 가설에 대한 ... ...
안구운동 측정해 수면부족 여부 판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갑자기 나타나는 물체를 인지하고 버튼을 누르는 데 미세한 시간 차가 났다. 잠을 충
분
히 자는 기간 동안에는 참가자가 물체를 인지하고 응답하기까지 400~700ms 정도 걸렸는데, 밤을 샌 뒤에는 최대 80ms씩 지연됐다. 이런 결과는 이런 결과는 풍경을 감상하거나 정류장에 멈추고 있는 버스를 볼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것과 같은 원리다. 연구진은 알루미늄 호일보다도 얇은 1.8㎛(마이크로미터·100만
분
의 1m) 두께의 초박형 물질에 이산화규소와 산화하프늄을 불규칙적인 두께로 덧씌어 마치 거울과 같은 초박형 다층구조 물질을 개발했다. 이 물질의 내부 구조는 특정 주파수 적외선을 외부로 내뿜도록 설계했다. ... ...
스마트폰앱 버튼 누르니 뇌에 칩 심은 쥐가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2g의 뇌 이식용 기기를 만들었다. 약물 카트리지는 레고의 원리를 모사해 쉽게 조립하고
분
리할 수 있도록 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연구팀이 이 기기를 쥐의 뇌 보상회로에 이식해 도파민 활성 약물과 억제 약물이 든 카트리지를 결합한 결과, 간단한 스마트폰 앱 조작과 도파민 활성 약물을 ... ...
실험실 아닌 실제 현장에서 인공광합성 돕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08
민병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국가기반기술연구본부장(왼쪽)과 황윤정 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가운데), 원다혜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증류 ... 책임연구원과 원다혜 선임연구원이 참여한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달 22일 촉매
분
야 국제학술지 ‘응용 촉매 B: 환경’에 실렸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때문에 많은 오류를 피할 수 없었다. 예컨대 갈레노스는 인간의 간이 개처럼 다섯 부
분
으로 나뉘어 있다고 잘못된 주장을 하거나, 심장의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의 격벽에 구멍이 있어 그 사이로 혈액이 흐른다고 잘못된 주장을 펼쳤다. 갈레노스의 오류를 극복한 것은 16세기의 의사 ... ...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
과학동아
l
2019.08.08
“해상도를 기존 대비 100배 이상 끌어올렸다”며 “앞으로 단백질 등 복잡한 구조의
분
자에서 원자 하나하나의 스핀 상태를 시각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67-019-0573 ... ...
소재부품 기업들 "국산화 초기 지원만이라도 제대로…나머지 우리가 한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내용을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책에는 소재 기술 R&D
분
야에 대한 투자 방안과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 ...
"소재·부품 국산화 기존방식 버려야. 1등 기술로 키우고 대기업 사게 하는 환경 필요"
2019.08.07
대기업들이 사용할 환경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박 교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
야는 최고 수준이 되지 않으면 수율 저하로 이어질 수 있는 특성이 있다"면서 "현재 국산 제품은 이류라는 인식하고 있어 아무리 국산화를 한다고 하더라도 쓰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박 교수는 “전 세계적인 ... ...
백금촉매에 탄소껍질 씌워 수소차 핵심 연료전지 수명 4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며 “향후 연료전지 촉매 외에도 다양한 전기화학 응용
분
야에 본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앤 인바이런먼털 사이언스(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7월 31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5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