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바타’ 정말로 만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팀은 2월 17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미국과학진흥협회에서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이 대학 올라프 블랑케 교수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3차원 가상현실이 나오는 고글을 씌우고 카메라 앞에 세웠다. 연구진은 가상인물의 등에 펜 같은 물체로 찌르는 동작을 보여주는 동시에 실제 참여자의 ...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매몰했던 영국은 매몰이 끝난 뒤 두달이 지나면 소 한 마리에서 170L의 침출수가 나온다고
발표
한 바 있다. 500mL짜리 휴대용 생수병 340개 분량이다. 미국 농무부 동식물검역청도 소는 160L, 돼지는 12L의 침출수가 나온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처음 구제역이 발생한 것은 작년 11월 28일.이틀 뒤인 30일 바로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교수팀도 쥐에게 항생제 ‘마이노사이클린’을 먹였더니 신경성 통증이 멈췄다고
발표
했다. 마이노사이클린은 미세교세포가 애초에 입을 열지 못하게 막는 원리로 작용한다. ‘프로펜토필린’이라는 화학물질도 미세교세포의 활성을 억제해 만성통증을 없앤다. 국내에도 신경성 통증으로 고통 ... ...
파리는 어떻게 벽에 달라붙나?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예다. 영국 캠브리지대 곤충생물기계연구소의 월터 페델레 박사팀이 지난해 2월
발표
한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바느질개미는 몸무게의 100배나 되는 무게를 다리로 지탱할 수 있다. 이 개미는 이렇게나 무거운 짐을 지고도 거꾸로 매달려 있을 뿐 아니라 한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다리를 옮길 수 있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연구자들은 지난해 5월 ‘사이언스’에 첫 결과로 박테리아 178종의 게놈을 밝힌 논문을
발표
했다. 현재까지 총500여 종의 게놈을 해독한 상태다.‘네이처’ 1월 27일자에는 장내 미생물인 비피더스균이 아세트산염을 분비해 인체에 치명적인 대장균 O157 같은 병원체를 무력화시킨다는 사실이 ... ...
초소형 MEMS 기술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싸우고 아픈 부위에만 약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리학자 리차드 파인만이 1959년에
발표
한 ‘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이란 논문을 보면 수 나노미터에서 수십마이크로미터 세계에는 우리가 경험하는 세계 이상의 세상이 존재할 거라고 한다. 이것이 현재의 MEMS 및 나노 기술의 시발점이 ... ...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30% 선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0명이 한 조가 된다. 캠프 첫날 모두에게 똑같은 재료와 문제를 나눠주고, 캠프 마지막 날
발표
시킨다. 주어진 조건에서 얼마나 협동해서 문제를 해결했는지를 살펴본다. 인성면접에서는 1단계 서류전형시 제출한 자기소개서, 추천서, 입증자료 등을 바탕으로 면접을 실시한다. 인성에 대해서는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움직임을 추적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2008년과 2010년 각각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발표
한 논문에서는 사람들이 대체로 예측이 쉬운 일정한 경로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밝혔다. 자유롭게 움직일 것 같지만, 의외로 대부분 학교 또는 직장과 집을 오가는 단순하고 한정된 움직임을 보인다는 ... ...
홍역바이러스는 새로운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홍역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투하는 방법을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월 13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부착단백질의 어떤 부위가 세포의 수용체와 결합하는지 알아내기 위해 단백질 구조를 분석했다. 그 결과 부착단백질의 윗 부분이 숙주 세포와 결합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 ...
태양계 탐사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보이저 1호가 태양계의 끝에 있다는 소식을 지난해 12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발표
했다. 1959년 소련이 스푸트니크 위성을 우주로 쏘아 올린 후 인류는 수많은 탐사선을 우주로 쏘아 올렸다. 지금도 많은 탐사선이 태양계를 탐사하고 있다. 현재 활동하고 있는 탐사선을 정리했다.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