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300점 만점에 300점, 퍼펙트 볼링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측에서 경기가 시작되기 전에 기름의 분포 모양을 선수들에게
발표
한다. 기름 모양이
발표
되면 선수들은 기름 분포에 맞춰 공을 선택하고, 기름 모양에 맞는 훈련을 시작한다.그런 다음 선수들은 최고 점수를 얻기 위해 수없이 연습을 거듭한다. 그리고 이 모든 자료를수치화해 자료를 분석한다.최근 ... ...
Part 3. 말귀 알아듣는 컴퓨터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대답을 하면 컴퓨터도 지능을 가졌다고 여기자”고 1950년 영국 저널 ‘마인드’에
발표
한 ‘계산기계와 지능’이라는 논문에서 제안했다. 그러면서 튜링검사라는 것을 소개했다.튜링검사는 컴퓨터가 지능을 가졌는지 알아보는 검사다.컴퓨터와 사람이 대화하면 대화에 참여하지 않은 사람이 둘의 ... ...
오일러가 사랑한 수 e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학술원의 회보에 싣기에 충분한 원고를 남겼다. 886점의 책과 논문을 포함해 오일러가
발표
한 모든 것을 한데 모은 기념집을 1909년 스위스 자연과학회에서 만들기 시작했는데, 사절판 73권에 이르는 어마어마한 분량으로 계획됐다. 이는 그가 살아 있는 동안 논문이나 책을 연평균 약 800페이지씩 쓴 ... ...
수학 성취도, 수도권 저조하고 충청권 약진한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50% 이상 감소할 정도로 뚜렷한 경향을 보였다. 그런데 이번
발표
에서 교과부가 특별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주목할 내용이 있다. 바로 학교 수학 교육에서 50% 이상을 이해하는‘보통학력 이상’ 학생의 변화다. 보통학력 이상에 해당하는 초등학생의 비율은 2009년 87.5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되는 일은 좀처럼 일어나기 힘들다.필자는 2001년 ‘네이처’에
발표
한 연구에서 세포를 이루는 바이오 네트워크가 외부 충격(예를 들어 실험실에서 단백질 형성 유전자를 없애는 식)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저항한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바이오 네트워크의 토폴로지가 실제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부분)의 상피세포에 가장 먼저 침투한다는 사실을 밝혀 ‘수의병리학지’ 2010년 11월호에
발표
했다. 인테그린은 상피세포 표면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같은 바이러스라도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에 속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표면의 다른 분자를 인식한다. 즉 바이러스 표면의 ... ...
뚱뚱하면 뇌 줄어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콘비트 교수팀은 비만이 뇌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고 ‘뇌과학저널’에 2010년 12월
발표
했다. 비만인 사람의 식습관과 충동조절을 담당하는 뇌 부위는 마른 사람에 비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콘비트 교수팀은 44명의 비만 환자와 19명의 정상인의 뇌 자기공명영상을 비교했다. 두 그룹의 나이나 ... ...
[hot science] 얼짱 몸짱 마법의 주사는 없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열린 국제 메조테라피 학회에서는 PPC가 피하지방을 파괴하는 효과가 있음이 처음으로
발표
됐다. 199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군살을 없애는 용도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06년쯤에는 브라질과 미국, 유럽에서 살 빼는 주사로 인기를 끌었다. 국내에서도 2008년 이후부터 성행했다.그런데 2010년 4월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이상한 생각이 든다. 매년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 수십~수백 종의 ‘신종생물’을
발표
하지만, 코쟁이류처럼 희한한 생물을 본 적이 드물기 때문이다. 코쟁이류처럼 코로 걷거나 코로 먹이를 흡입하고, 코로 점프하는 동물 정도는 나와 줘야 신종생물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 ...
1987년 살바도르 몬카다 박사의 일산화질소의 근육이완 효과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만들까. 몬타나 박사팀은 꼭 1년 만에 이 비밀까지 밝히는 데 성공했다는 논문을
발표
했다(1988년6월 16일자 ‘네이처’). 아미노산의 하나인 아르기닌이 분해되면서 일산화질소가 만들어진다는 것. 이번에도 아르기닌이 결핍된 상피세포는 EDRF를 제대로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기존 다른 팀의 연구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