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층으로 이뤄진 불과 수나노미터(nm)의 박막과, 머리카락을 1만개로 쪼갠 두께 정도의 아주
작은
패턴을 가공하는 기술을 사용한다. 가공이 가능한 박막의 두께와 패턴의 크기가 점차 물리적 한계에 가까워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10년 정도는 무어의 법칙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 ...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만들어지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논의 중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성 고·저기압 등 비교적
작은
규모의 대기운동과 해수면 온도, 대륙의 눈 덮힘이나 에어로졸, 심지어 온실가스와 같은 다양한 인자들이 극 진동의 크기를 바꾼다.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적도지역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대류활동이 ... ...
귀는 왜 두 개일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굵은 비가 밤새 내린 뒤 맑게 갠 아침, 출근길에 새소리를 들었다면 사람들은 아마도 즐거운 마음으로 새소리가 나는 쪽으로 고개를 돌려 한번쯤은 새를 찾아볼 것 같다. ... 큰 소리로 대화하자. 또 한쪽 청력이 좋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잘 들리는 쪽에서 얘기해주는
작은
배려가 필요하다 ... ...
더해도 똑같은 직사각형의 마술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마술이야 눈에 잘 띄지 않는 눈속임을 이용하는 것이었지만 직사각형 모양의 블록에
작은
조각을 계속 덧붙여 가는 마술은 물리적인 트릭보다는 수학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이어서 특히 흥미로웠다.미스터 마릭은 문제의 그림에서 왼쪽과 같은 직사각형을 만든 다음 딱 맞게 구멍이 뚫린 틀을 끼워 ... ...
마침내 부활한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현대인의 모습을 발견하자는 취지로 시작한 프로젝트였다.이 계획의 시
작은
1996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 박물관을 설계한 과학자들은 네안데르탈인에게서 짐승에 불과하다는 그릇된 오명을 벗기고 싶었다. 한 방안으로 첨단 디지털 기술을 이용하자는 의견이 제안됐다. 그 중에서도 컴퓨터 ... ...
나노 기술로 거장의 작품을 재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방법을 연구하는 곳이라는 뜻. 양 교수팀의 최근 연구 분야 중 하나는 큰 스케일에서
작은
스케일로 내려가서 눈으로 보이지 않을 만큼 정밀한 3차원 형상을 제작하는 것이다. 전자현미경으로 보는 예술작품“우리 연구실에서는 ‘생각하는 사람’을 20마이크로미터(1μm=10-6m)까지 작게 만들 수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작아질 때 그 궁극적인 모습이 바로 나노기술에 의한 사회 변화다. 먼지보다
작은
로봇이나 모터의 등장이라는 나노혁명은 황의 법칙이라는 큰 테두리 안에서 그 전망을 찾을 수 있다.나노혁명은 황의 법칙에서한편 인터넷 트래픽이 1년에 2배씩 확장돼왔다는 것은 그 안을 흐르는 디지털한 것들의 ... ...
산꼭대기 큰 웅덩이 가마솥 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표면의 특정 부분에 집중적으로 침식이 일어나면 그곳을 중심으로 요지(凹地) 형태의
작은
홈이 생겨난다.이후 화강암을 덮고 있던 표토가 바람 등에 의해 깎여 사라지면서 화강암이 지표에 노출된다. 노출된 화강암 표면의 홈에는 빗물과 눈 등이 고이게 된다. 고인 물이 얼었다 녹기를 반복할 때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바로 10억 분의 1을 말하는 것이에요. 나노미터는 1미터의 10억 분의 1이라고 하니 얼마나
작은
단위인지 상상이 가나요?박사님이 연구하시는‘나노표면과학’이란 바로 이 나노 단위의 기술을 통해 반도체와 같은 물체의 표면을 연구하는 것이에요. 예를 들면 반도체의 원료가 되는 원자를 한 층 한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색을 띤 자리돔, 줄도화돔, 세줄얼개비늘, 일곱줄얼게비늘 등 제주도에서 볼 수 있는
작은
아열대 어종들이 눈을 즐겁게 한다.이는 동해의 복잡한 해류가 빚어낸 현상이다. 쿠로시오 난류는 일본 오키나와에서 북쪽으로 올라오는데, 이 중 일부가 제주도를 지나 동해로 들어온다. 이 때 울산 근처를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