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전명 돈키호테! 소행성을 막아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지켜야 할 의무가 얹혀 있다.소행성 | 태양계 형성 직후 만들어진 지름 수 km크기의
작은
천체들이 서로 부딪히면서 소행성이 만들어졌다.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의 소행성대에 많으며 1km 이상인 소행성이 100만개 정도 있다. 소행성은 암석과 금속이 약한 중력으로 뭉쳐져 있다. 모양은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빠져 있다. 정답은 4번두 번째 문제의 답그림자의 모양들이 비슷해서 조금은 헷갈리지만
작은
부분들을 꼼꼼히 관찰해 보면 정답을 찾아 낼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의 답 자기가 직접 손으로 모양을 만들어 보자. 정답은 다음 그림과 같다. 네 번째 문제의 답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그림자의 크기는 ... ...
700만년전 인류 조상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잡지에 발표했다. 브루네 박사는 “새로 발견된 치아 화석들은 투마이가 어금니와 함께
작은
송곳니를 갖고 있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며 “이것은 투마이 화석이 유인원이 아니라 인류의 조상이라는 증거”라고 설명했다.그러나 미국 미시건대 고고인류학자 밀포드 월포프 박사는 투마이 화석 ... ...
3 배움에도 때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만나야 한다. 같은 장소에 있다고 무조건 시냅스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신경세포들이
작은
가지들을 내뻗어 서로 접촉하며 탐색전을 벌인다. 탐색전을 제대로 수행하지 않으면 이상형이 아닌 엉뚱한 배우자를 만날 수도 있다. 서로 접촉한 부위에 무조건 시냅스가 형성되는 것은 아니고 양쪽이 ... ...
테라헤르츠파를 쏜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검사하는데는 불과 3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의사는 피부암이 의심되는 깨알보다
작은
조직 2군데를 목 뒤에서 발견해 그 자리에서 바로 제거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C씨는 목 뒤의 반창고 자리를 조심스레 만지며 검사하러 오기를 잘했다고 몇 번이나 되뇌었다.이 얘기는 물론 가상의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움직이는 입자나 분자로 이뤄져 있다면 아무리 센 압력을 가해도 입자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줄어들지는 않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고 설명했다.아마갓은 기체의 부피에서 입자 또는 분자가 차지하고 있는 부피를 뺀 부피가 기체의 진짜 부피라고 할 수 있고 그 부피는 보일의 법칙을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암컷이 좋아하면 다른 수컷도 이것을 열심히 따라 부르고 결국 전체에 유행한다.‘
작은
마디 A, 다음에 B, C, 다시 A···’하는 식으로 레퍼토리의 순서도 바꿔보고 새로운 소리를 섞으며 유행에도 신경 쓴다. 북미에 서식하는 멧종다리는 남의 레퍼토리를 따라하기로 유명하다.호기심 때문에 소리를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박사팀은 롭해즈를 떠나보내기 전 몇가지 문제를 해결해야만 했다. 차체의
작은
틈새를 비집고 들어오는 미세 먼지를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에 빠진 것이었다. 먼지 차단을 위한 어떤 노력도 소용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연구팀은 차라리 일단 들어온 먼지에 대해서는 포기하기로 했다. 대신 내부에 ... ...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사진은 필름이 조금만 손상되면 다시 복원하기가 어려운데 반해, 홀로그램은 원판필름이
작은
조각만이라도 남아있으면 전체 사진을 다시 복원해낼 수 있다. 일반 사진이 빛의 강약을 필름 각 부분에 기록하는 것과 달리 홀로그램은 물체파와 기준파의 간섭무늬를 필름 전체에 기록하기 때문이다.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소행성들은 충의 위치에 있을 때 대략 하루 사이에 달 시직경의 절반만큼 이동을 한다.
작은
거리가 아니므로 하루 이틀이면 그리 어렵지 않게 그 움직임 폭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