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흐르는 고인류의 피 2010년 5월 7일자 ‘사이언스’에 네안데르탈인 게놈 해독 연구결과가
발표
됐는데 놀라운 내용이었다. 현생인류의 게놈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이 남아있다는 것. 현생인류와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과연 섞였을까 하는 의문은 오래된 논쟁이었고 미토콘드리아DNA 분석 결과는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진행한 실험에서 멋진 데이터를 얻어내는데 성공했다고 ‘새물리학저널’ 3월 14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자들이 사용한 전자총이 내보내는 전자의 에너지는 600eV(전자볼트)로 드브로이의 물질파 공식을 적용하면 파장이 50피코미터(피코는 1조분의 1)에 해당한다. 따라서 슬릿의 폭이 아주 좁아야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모유를 먹이면 아이가 똑똑해진다는 사실은 외국의 연구에서도 확인돼 2008년 논문이
발표
된 적이 있다. 6살 때 IQ검사를 하자 모유를 먹은 아이들이 평균 5.9 더 높았다는데, 이는 우리나라 인지능력 측정 결과와 비슷한 수치다. 캐나대 맥길대 마이클 크래머 교수팀을 비롯한 공동연구팀이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게 운석(meteorite)이다. 1958년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필립 위아트 교수는 ‘네이처’에
발표
한 논문에서 퉁구스카 사건이 반물질 유성체가 물질로 이뤄진 지구 대기에 부딪치면서 일어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즉 우주 저편 어디선가 반물질로 이뤄진 은하에서 날아온 반물질 천체가 운 좋게 물질과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실렸다. E=(3/4)mc²를 유도한 하젠욀의 1905년 논문은 아인슈타인의 논문보다 수개월 앞서
발표
됐다. 게다가 하젠욀은 이 업적으로 오스트리아과학아카데미가 주는 ‘하이팅거상’까지 받았다. 이번에 저자로 이름을 올리지는 않았지만 바운 교수와 함께 하젠욀 연구를 한 미국 프린스턴대 토스 로스만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전 지구의 환경(산소가 없는)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혁신적인 제안이 담긴 논문이었지만
발표
당시에는 별 다른 반향이 없었다. 그러나 그 뒤 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관련 데이터가 계속 쌓이면서 사람들은 점점 이 논문에 관심을 보이게 된다. 그리고 1990년 우즈 교수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제안하는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DNA를 이용해 ‘실제적인, 고용량 저비용’ 정보 저장 방법을 개발했다는 논문이
발표
됐다. 영국과 미국 공동 연구팀은 1953년 왓슨과 크릭의 DNA이중나선 논문을 비롯해 5가지 형태의 파일을 DNA에 저장하고 이를 꺼내 100% 재현하는데 성공했다는 것. 사실 원리는 간단한 거고 필자는 이게 정말 얼마나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진행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디이비드 베이커 교수팀은 지난 2011년 ‘사이언스’에
발표
한 논문에서 헤마글루티닌의 줄기영역에서 항원이 되는 부분을 인식할 수 있는 단백질 조각을 디자인해 실제로 바이러스 표면에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공 항체인 셈이다.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고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런데 탄소배출량을 소비 기준으로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헬름 교수는 2007년
발표
한 보고서에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영국의 탄소 생산량은 15% 줄었지만 소비량은 오히려 19%가 늘었다고 폭로했다. 자국내 석탄광을 폐쇄하고 공장을 해외로 이전하는 한편 중국 같은 나라에서 물건을 수입해 쓴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사실이 뒤에 밝혀졌다. 샛킨은 갓과 관련된 연구를 계속했는데 그의 마지막 논문은 2011년
발표
한, 갓을 만드는 효소의 X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샛킨은 뛰어난 연구자이며 동시에 탁월한 멘토였는데 그 자신 가장 보람을 느끼는 때를 꼽아달라는 질문에 “제자들이 독립해 나가서 그들이 뛰어든 ... ...
이전
560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