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 유전체, 뇌과학 투자 늘어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1.13
신규로 추진한다. ●“부처협력·산업계 공동연구로 국민 공감 이끌어”
발표
가 끝나고 이어진 토론에서 토론자들은 ▲국민들에게 필요한 BT연구를 수행할 것 ▲BT분야 인력창출과 일자리 창출 ▲중앙중심 R&D 수행체제에서 지방정부로의 변화 ▲기존기술을 활용한 BT복지 등을 당부했다. 권영근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2.09.10
받았어요. 그들이 정말 필요로 하던 연구였던 거죠. 앞으로도 연구의 진행 상황을 종종
발표
할 예정이에요. 이 연구를 궁금해 하고 실제 적용을 기다리는 환자들을 위해서죠.” ●‘의사 연구자’가 많아지도록 해야 박 교수가 처음부터 연구에 관심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의대를 졸업하고 암을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7.04
한 번 열리는 연례 컨퍼런스에서는 세계적인 한국 석학의 기조 강연과 우수 연구 성과
발표
가 진행된다. 올해 컨퍼런스는 이런 학술대회에 채용 박람회(Job Fair)가 더해졌다. 2012 바이오컨밴션 행사에 맞춰 컨퍼런스를 열면서 국내 15개 기업이 동시에 참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보스톤 총영사관의 ... ...
패러다임 전환기 맞은 세계 바이오산업…우리나라에는 ‘호기’
동아사이언스
l
2012.07.01
환자에게 투여해도 원래 약만큼 안전하다. 이는 ‘2012 유럽류머티즘학회(EULAR)’에서
발표
되면서 본격적인 ‘바이오시밀러 시대’의 도래를 알렸다. 장 소장은 “이번 바이오시밀러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복제약 시장에 뛰어들고 나아가서는 신약 개발에도 도전할 것”이라며, “우리 항체나 백신 ... ...
“다양하고 넓어진 BT… 정부 부처간 연계가 반드시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2.04.11
수행하는 부처가 달라지는 것 같다.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쌀 유전자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
하면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쌀에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성분을 찾아낸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이 성분을 이용해 새로운 신약을 개발하고 지식경제부에서는 이 약을 대량생산하도록 지원한다. 정부 부처가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말했다. 때마침 지난 9일, 정부가 연구중심병원을 위해 2조4000억 원 규모의 지원전략을
발표
한 사실을 들며 사람의 건강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에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 HT와 함께 BT를 입체적으로 정의해야 “사람에게 적용되는 부분을 ‘헬스테크(HT)’로 정의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 ...
“국내 신약개발, 사업화 역량만 키우면 승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11.01
재임기간 동안에도 과학자자로서 연구를 계속했다. 70여건 이상의 해외 우수논문을
발표
하고, 세계적인 에이즈 치료제인 ´Sustiva´의 개발 및 제품화에 참여했다. 이런 공로로 2009년에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수여하는 과학기술포장을 수상하기도 했다. ●국가연구기관은 기초연구 강화해야…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시험생산시설을 만들어 제공했습니다.”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지원한다는 계획이
발표
될 무렵인 1999년, 국내에는 바이오벤처가 급격히 늘었다. 기초연구 결과가 벤처 등 기업을 거쳐 단기간에 시장에 등장하는 시스템이 들어선 것도 이때다. 2000년에 만들어진 바이오벤처만도 800여 개. 벤처를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8
이 분야 권위지인 ‘네이처 메디신’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연이어 논문을
발표
하면서 연구 성과를 인정받기도 했다. ●“美 NIH의 박사후연구원 대상 연구개발(R&D) 정책 참고해야” “한국에서는 젊은 과학자들이 좋은 아이디어가 있어도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해 사장되는 경우가 종종 ... ...
“연구성과 따른 장려금제도 등 재미과학자도 정부지원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15
편의 논문을 ‘네이처 메디신’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잇따라 게재했다. 학술
발표
에 나선 계 박사도 지난해 12월 줄기세포 분야 권위지 ‘셀 스템 셀’에 줄기세포에서의 마이크로RNA 발현을 주제로 논문을 게재해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다. 박 회장은 “한국 생명과학 석학 중 NEBS 출신이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