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2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저전력 ‘스핀-오빗 메모리’ 개발
2015.03.03
다르게 조절하면 다른 특성이 나타난다. -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제공 양현수 싱가포르
국립
대 교수팀과 박재훈·이현우 포스텍 교수, 이경진 고려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산화마그네슘(MgO)과 백금(Pt), 산화실리콘(SiO2) 등을 쌓아 나노자석을 만든 뒤 이 나노자석이 산화되는 정도를 조절해 구동전력을 ... ...
원시 지구에는 ‘봄비’ 대신 ‘철비’ 내렸다
2015.03.03
재현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하버드대와 UC데이비스 등 공동연구팀은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 있는 ‘Z머신’을 이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Z머신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방사선을 발생할 수 있는 장치로 인위적인 초고온·초고압 상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연구팀은 Z머신에 두께 200μm의 ... ...
‘킬링필드’ 상처 어루만지는 따뜻한 과학 원조
2015.02.27
소속이다.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캄보디아
국립
기술대(NPIC)에 적정기술센터를 열면서 2년째 이곳을 지키고 있다. 고려대 건축사회환경공학부 교수직에서 은퇴한 뒤 편안한 노후를 보내는 대신 과학기술 봉사를 택했다. “처음에 초등학교 화장실은 전구 하나 달려 ... ...
신생아에게 엄마 목소리 자주 들려주세요
2015.02.24
아기의 뇌 발달 속도는 매우 빠르다고 알려졌지만, 어느 시기에 어떤 부위가 발달하는지 자세한 기작은 여전히 베일에 싸여 있다. 최근 미국 연구진은 조산 ... 능력을 실제로 향상시키는지를 알아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23일자에 실렸다 ... ...
우아한 숄 두른 갯민숭달팽이, 이탈리아에 가다
2015.02.22
이용해 후성유전체의 참고 데이터 구축을 목표로 2008년 본격 연구를 시작한 미국
국립
보건원(NIH)의 ‘후성유전체 로드맵’ 컨소시엄의 성과를 특집으로 다뤘다. 줄기세포의 분화 과정과 자가면역질환, 알츠하이머 등의 질병과 관련된 후성유전체학 결과 등을 다룬 연구 논문 8개가 실렸다. ... ...
미국에서 가장 조용한 지역은 어디일까
2015.02.17
지도에서 와이오밍 주에 있는 옐로스톤
국립
공원과 콜로라도 주의 그레이트샌드듄스
국립
공원 등이 짙은 남색으로 나타나 가장 조용한 곳으로 나타났다. 진한 남색은 소리 크기가 20데시벨(dB)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20데시벨이 넘는 소리는 곤충이나 설치류의 사냥을 방해하는 등 ... ...
‘침묵의 암살자’ 난소암, 여성 위협
동아일보
l
2015.02.16
동아일보] 환자 크게 늘고 생존율 낮아 보건복지부와
국립
암센터는 지난해 말 ‘2012년 국가암등록통계’(2년마다 발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통계가 시작된 1993년과 비교해 2012년 전체 암의 5년 생존율이 2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기술 발전과 각종 암에 대한 표적치료제의 개발로 암에 ... ...
동물의 천국, 탄자니아를 만나다
2015.02.15
아루샤에 있는 ‘아루샤 자연사 박물관’이다. 이달 10일과 11일 양일간 열린 탄자니아
국립
공원야생동물연구센터(TAWIRI)와 연구소재중앙센터(KNRRC)의 워크숍 참석차 이 곳에 왔다. 워크숍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의 개도국과학기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두 기관의 워크숍이 끝난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연구에는 당시 박사후연구원이던 김상배 MIT 교수가 참여했다. 같은 해 로런스버클리
국립
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이었던 남기태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물속에서 저절로 조립되는 ‘분자종이’ 연구를 이끌기도 했다. 미국 연구진은 몸속에서 스스로 조립돼 암세포 하나를 집어낼 수 있는 ... ...
미세먼지, 뱃속의 아기 노린다
과학동아
l
2015.02.11
발견했다. 특히 임신 3기(후기)가 가장 위험한 시기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연구는 미국
국립
환경보건과학연구소가 발행하는 학술지 ‘환경보건전망(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2월 18일자에 실렸다. ... ...
이전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