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29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했다면…
2015.01.11
진행되어온 연구에서 주변 국가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일까? 저자들은 미국 페르미
국립
가속기연구소의 테바트론 가속기를 이용한 연구에서 핵심 역할을 해온 학자들이다. 특히 저자 중의 한 사람인 리언 레더먼은 1976년 b쿼크를 발견한 것은 물론 뮤온 중성미자를 발견한 공로로 1988년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피질의 활동이 저조할수록 재범률이 높게 나타난 것. 연구팀은 이 결과를 2013년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뇌에서 인지 능력이나 사회성, 질병 등과 관련된 부위는 ‘뉴로마커’로 불린다. 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뉴로마커는 특정 현상과 뇌의 상관관계를 밝힌 것이지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했지요. 오지 원주민들에게서 나타나는 질병을 연구하던 다니엘 가이두섹 전 미국
국립
보건원 바이러스신경연구소장은 쿠루를 보고한 문서를 검토하다 “포레 족은 식인종”이라고 돼 있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쿠루와 식인풍습의 연관성을 의심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이두섹 박사는 쿠루에 ... ...
겨울철 감기 더 잘 걸리는 이유가, 코 때문?
2015.01.07
기승을 부릴 수 있는 이유는 콧속의 온도가 낮아 면역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5일자에 밝혔다. 연구팀은 쥐의 기관지에서 추출한 세포를 평상시 체온과 유사한 온도인 37도와 겨울철 콧속의 온도와 비슷한 33도(실내에 있을 때)에서 배양하며 라이노바이러스에 대한 ... ...
헉! 출생년도에 따라 허리둘레 달라지네
2015.01.01
환경과 상황이 비만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2014년 12월 29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세기 후반 들어 미국 전역에서 비만율이 높아졌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시대에 따른 환경의 변화 탓에 비만률이 높아졌을 거라는 가설을 세운 연구팀은 ... ...
[Good Bye! 갑오년] 靑馬 실제로 있다? 없다?
2014.12.31
불리는 양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과연 청마도 지구상에 존재할까. 김남영
국립
축산과학원 난지축산시험장 연구사는 “색깔이 아주 검은 개나 까마귀에게 ‘청색을 띤다’고 표현하는 것처럼, 털이 아주 짙은 흑색을 띠면 푸른빛이 돈다고 느끼는 경우가 있다”며 “우리나라에는 푸른빛이 돌 ... ...
에볼라 백신 임상 1상 첫 통과
2014.12.30
잡은 에볼라 바이러스 백신이 첫 번째 임상시험을 통과했다. 미
국립
보건원(NIH) 산하
국립
알레르기 및 감염병 연구소(NIAD) 소속 줄리 레저우드 박사팀이 주도한 공동연구팀은 안전하면서도 백신으로서 효과가 있는 수단형 및 자이르형 에볼라 백신과 마버그 바이러스 백신의 1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 ...
“후쿠시마 발 세슘 137, 2015~2016년 최고치”
2014.12.30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캐나다 연안에서 인공 방사성물질인 세슘 137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태평양의 주요 해류. 후 ...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 해를 끼칠 수준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
국립
과학원회보(PNAS)’ 29일자에 실렸다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식물의 생장호르몬 '옥신'이 관여하는 전사억제인자의 구조. - 서울대 제공 식물이 생장호르몬을 이용해 유전자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국 ...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PNAS)’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3위에 올랐다. Z머신은 세계에서 가장 큰 X선 발생 장치로 미국 뉴멕시코 주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 있다. Z머신은 초고온·초고압 상태를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어 핵융합 원리를 규명하는 데 이용된다. 올해 Z머신은 핵융합 반응에서 생겨나는 부산물인 중성자를 검출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핵융합의 ... ...
이전
565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