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루이스 할시 박사는 만약 동물이 스스로 운동을 한다면, 몹시 정밀하게 계산된
결과
일 거라고 주장했다(박스 기사 참조). “인간은 에너지가 풍부한 음식을 끝없이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강도 운동을 아무리 많이 해도 번식에 무리가 없다. 그러나 동물들은 굶어 죽지 않으면서 포식자로부터 도망칠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대결은 기계가 사고능력이 있음을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이 공동으로 만든 연구
결과
가 가장 재능 있는 인간을 뛰어넘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려는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그는 학습을 통해 위험한 상황들을 공부하듯 알아갔다.그런데 연구 도중 의외의 실험
결과
가 나왔다. 웨미 교수팀이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2013년 2월 3일자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이 여성의 체내 이산화탄소 양을 증가시켰더니 숨이 막힐 것 같다며 울부짖기 시작했다. 생전 처음으로 공포감을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인 것 같아요. 소금쟁이 로봇을 예로 들자면 소금쟁이에 대해 탐구한
결과
를 바로 로봇이라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잖아요.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두 가지를 모두 할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입니다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됐지만 새의 조상이 공룡일 리 없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연구
결과
만 봐도 새와 공룡은 공통점이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새와 공룡 사이에 대한 다음 증거는 무엇이며, 그때 수학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까요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위해 지나가는 차량을 계속 셌던 것 같아요. _옥민서(3학년)당찬 학생들이 고군분투한
결과
차가 많을 때는 분리신호가 효과적이라는 점과 도로의 최고 속도를 시속 약 10km 줄여도 이동시간은 2분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또 횡단보도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빨리 걸어야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서식처에 다양한 공룡이 모여 사는 과정에서 같은 종끼리 알아볼 수 있는 표식을 늘린
결과
예요.이런 생김새의 공룡은 얼핏 흉악해 보이지만, 초식이기 때문에 인류를 먹이로 보지는 않았을 거예요. 하지만 수십 톤의 몸무게나 몸에 달린 뿔 때문에 인류가 함부로 건드리지는 못했을 거예요.정말 ... ...
[News & Issue] 혈액 생성 과정, 교과서가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혈액 샘플을 실험했다. 이들로부터 3000여 개의 혈액세포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분석한
결과
조혈모세포의 각 부분이 거의 동시에 다양한 혈액세포로 분화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전까지는 조혈모세포가 순차적으로 변화해 혈액세포가 만들어진다고 알려져 있었다.딕 교수는 “이번 연구가 빈혈이나 ... ...
[News & Issue] 맞춤 항생제 3분 만에 처방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만에 찾아냈다. 이크발 연구원은 현재 3개의 병원에서 시험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
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5년 12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Knowledge] 파충류의 속사정2 하늘의 거인 케찰코아틀루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왜 이렇게 긴 목을 가지게 됐을까. 로슨은 죽은 공룡의 몸뚱이를 뜯어먹는 데 적응한
결과
라고 추정했다. 거대한 공룡의 사체 속에 주둥이를 깊숙이 넣어 고기를 뜯어먹으려면 긴 목이 유용했을 것이라는 생각이다. 하지만 케찰코아틀루스의 머리 위에는 뼈로 된볏이 있기 때문에 사체 속에 머리를 ... ...
이전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571
다음
공지사항